지금 우리나라 최저임금 수준이 우리나라 경제에 적정한 수준인가요??
오늘 최저임금이 만원 살짝 넘는 수준에서 결정됐다고 하는데 이 정도 수준이면 우리나라 경제에 적합한 최저임금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전년대비 1.7% 인상된 수준으로 역대 두번째로 낮은 인상률입시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09만6270원입니다. 한국의 최저임금이 타국과 비교해 많은건지 적은건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라 정할수는 없지만 객관적으로는 OECD기업중 14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소수의 대기업과 그들과 관련된 중소기업들이 있고 나머지는 소상공인과 노동자들이 박터지게 싸우는 구조라고 생각합니다. 노동환경이 나쁘기 때문에 독립 및 창업하여 소상공인들이 많은 편이고, 최저시급은 형편없으나 (미국등 18달러수준) 노동자들이 돈을 많이 벌어야 이들이 소비를 할수가 있습니다. 그래야 매출로 이어지죠.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한다고나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어느정도 적정 수준이라고 볼 수 있긴 합니다. 왜냐하면 사실상 대다수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이 몇 년째 오르지 않았고, 이에 따라 근로자들이 더 살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정도의 최저임금 수준은 되어야 맞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비교군을 어디에 정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재 글로벌 국가와 비교를 한다면
높은수준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경제수준이 GDP기준으로 13위에 랭크하고 있는데 임금수준은 이 보다 낮기 때문에
최저임금이 올라오는 것이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물가로 비교하면 임금이 좀 더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를
폭이 남아있다는 것과 동일한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금 우리나라 최저임금 수준이 우리나라 경제에 적정한 수준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한국의 고물가를 놓고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경제에 현 수준의 최저임금은 여전히 모자란 금액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만 원 정도로 결정된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작은 가게나 회사는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적정한 수준인지에 대한 의견은 사람마다 입장이 다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경제에 적정한 수준인지 여부는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간단하게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을 통해 현재 한국의 최저임금이 경제에 적정한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생활비와 실질임금: 최저임금이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비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고용률과 실업률: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야 합니다. 최저임금이 과도하게 높으면 기업이 고용을 줄이거나 자동화를 늘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업의 수익성: 중소기업이나 영세업체의 수익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높은 최저임금은 이러한 기업의 재정적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최저임금 인상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합니다. 최저임금이 오르면 기업이 비용 상승을 가격에 반영할 수 있어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국제비교: 다른 나라와의 최저임금 수준을 비교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경제 규모나 생활비 등을 고려했을 때 한국의 최저임금이 상대적으로 적정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