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반짝이는반딧불
반짝이는반딧불

영화나 만화에서 전기를 통하거나 번개를 맞으면 뼈만 하얗게 보이게 표현을 하는데요/

질문 그대로 영화나 만화에서 전기를 사람에 감전되거나 번개에 맞았을때 뼈만 하얗게 보이게 포현을 하는데요 이렇게 표현을 하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번개나 전기에 감전되었을 때 뼈가 보이는 표현을 하는 것은 실제와는 다르지만 과장되게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극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충격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기 위한 상징적, 연출적인 장치입니다.

    언제부터 이러한 표현 방법이 시작된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현대까지도 이런 표현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영화나 만화에서 감전 시 뼈만 하얗게 보이게 하는 연출은 실제 현상이 아니라 시각적 과장과 유머 효과를 위한 표현입니다 X선 촬영처럼 몸속을 투시해 뼈가 드러나는 이미지를 차용해 강한 전류나 번개의 강렬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라고 할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영화나 만화에서 감전되거나 번개 맞을 때 뼈가 하얗게 보이는 연출은 실제로 그렇게 보이는 게 아니라, 전기가 몸 전체를 강하게 통과한다는걸 과장해서 시각적으로 표현한 연출기법입니다. 이런 표현은 엑스레이처럼 뼈가 드러나 보일 정도로 강한 에너지가 몸을 통과했다는 걸 상상적으로 보여주는것입니다. 실제로 전기를 맞아도 눈에 보이게 뼈가 드러나진 않지만 관객이 강한 전기가 몸을 지났다는걸 순식간에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인것입니다. 즉 뼈가 하얗게 보이는 것은 실제 현상이 아니라. 엑스레이 이미지와 감전의 위력을 결합한 만화적 연출이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만화나 영화에서 전기가 통하게 되면 뼈만 보이게 하는 것은 그냥 단순히 인체에 전기가 통한다는 것을 과장해서 보여주는 것으로 아마도 엑스레이찍으면 뼈가 보이는 것을 가지고와서 전기가 흐른다는 것을 화면이나 그림으로 보여주기위해서 선택한 사항을 추정됩니다. 전기가 통하면 몸이 떨리면서 심하면 화상이나 감전이 일어나지 뼈가 보이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실제 감전시 뼈가 보이는게 아니며 이는 만화 등에서 시각적으로 과장되게 표현하기 위함입니다.

    극적인 재미나 자극을 위한 과장된 연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번개를 맞으면 심한 화상과 심장 마비에 걸립니다. 뼈가 하얗게 보이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엑스레이를 찍으면 뼈만 하얗게 보이듯이 이런 엑스레이효과를 넣어 코믹하게 만든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제가 보기에 이것은 극적으로 시각화한 연출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감전이 되면 뼈가 보이거나 그러진 않습니다. 뭔가 섬광이 번뜩이고 고통스러워 하는 인물을 시청자에게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뼈가 보이는 것은 X-ray 같은 것들이 주로 그렇게 활용이 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만화에서는 시각적 효과와 상징성으로 표현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람 몸에 감전이 되면 뼈가 보이거나 빛이 나는 일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관련된 장면은 전기의 충격과 강력함을 시각적으로 표현 하기 위한 연출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