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찬란한원숭이62
찬란한원숭이6223.02.18

바다의 소금을 계속 사용하는데.. 바다의 소금이 사라지지 않나요?

바다의 소금을 사람들이 계속 소금을 만들어서 빼고 있잖아요? 그러면 바다의 소금은 점차 사라지지 않을까요? 계속 소금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다의 면적은 3억 6천 ㎦이며, 평균 수심은 약 3,800m이고 지구표면의 약 71%를 차지합니다.
    바닷물의 소금농도는 3.5%로, 바닷물 속에 녹아있는 전체 소금의 양은 48000조톤 정도 됩니다.
    (-> 360,000,000 x 1,000x1,000 x 3,800 x 35 / 1000 = 48000조톤, 좀 어렵죠...)

    세셰 60억의 인구가 매일 100g씩(실제는 하루 20g이하-우리나라, 권장 섭취량 ~ 1.3g) 소금을 섭취한다 해도 2억 2천만년 이상을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정량 이상의 소금은 우리 몸(또는 동물의 몸) 밖으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소금은
    비에 녹아서 결국 다시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소금을 어디에 쌓아두지 않는한 바닷물의 소금농도는 항상 3.5% 정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태양과 바람에 노출될 때 바닷물은 물에 용해된 소금과 다른 미네랄을 남기면서 증발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바다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그 결과 소금이 계속해서 만들어짐으로서 바닷물의 높은 염분 농도가 유지되게 됩니다. 사람들이 소금을 만들어서 빼고 있지만 바다 또한 계속해서 태양과 바람으로 소금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계속 소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영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은 바닷속의 암석이나 화산분출과 같은 다양한 지각 화학적 활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지금도 계속 생성/유지되고 있으며 그 총량에 비해 현재 인간이 사용하는 소금의 양은 무시 가능할 정도로 미미합니다. 다만 미래에 지금보다 월등히 큰 규모로 소금을 채취한다면 작성자님 말씀처럼 고갈이 될 수는 있겠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을 만들면 그 소금을 사람이 먹거나 다른 곳에 쓰일텐데요. 그럼 물이 증발되어 비로 내리고 이떄 이런 비들이 그런 소금이나 광물이나 땅에 있는 염분을 모아서 바다로 가게됩니다. 따라서 바다에서 소금을 빼서 사용한다고 해서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