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굉장한까치37
굉장한까치3722.12.07

경제가 지금 상당히 안좋은데 다시 좋아질 수가 있나요??

경제라는게 좋아지고 나빠지는 주기가 있는거 같은데

현재 다들 imf 이후로 역대급 안좋다고 하는데 다시 회복이 가능할까요???경기라는게 어떤 계기가 있어야 좋아지고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지난 코로나시기부터의 경제와 향후의 경제 흐름을 예측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코로나로 인한 각국의 경제봉쇄

    2. 경제봉쇄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로 각국의 보조금 및 지원금 확대 + 저금리 기조 정책

    3. 개인들의 화폐 소지량과 소비가 확산

    4. 소비지출 확대로 인한 물건, 주식, 코인, 부동산등의 자산 가격이 상승

    5. 자산가격의 상승이 경제성장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

    6.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금리인상 정책을 시작

    7. 금리인상 정책으로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

    8.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지출의 감소

    9. 소비지출의 감소로 인한 기업들의 재고자산 증가

    10. 기업들의 재고자산 증가로 인한 물건 가격 하락 -> 인플레이션 하락

    11. 기업들의 경영실적 악화로 인한 '구조조정' 가능성 증가

    12. 그동안 확대정책으로 유지하였던 기업 규모를 긴축으로 전환 및 기업들간의 치킨전쟁

    13. 기업들의 도산 및 살아남은 기업들의 재무구조는 건전해짐

    14. 국가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정정책 실행 (국채매입 혹은 금리인하 시작)

    15. 개인들의 소비 확산으로 기업들의 판매실적 상승

    16. 기업들의 판매실적 상승으로 인한 채용률 증가

    위와 같은 사이클로 흐름을 이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의 과정 중에는 다양한 외생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기가 늦어지거나 혹은 변동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의 틀은 비슷하게 흘러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는 내년은 경기침체 후 2023년 연말부터는 금리인하를 통해서 경제가 활성화되도록 할 노력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역사상 수없이 많은 위기가 있었습니다.

    경제대공황, 닷컴버블,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등 여러가지 사태가 있었으나

    모두 극복해왔고 지금 경기가 좋지 않으나 반드시 회복될 것입니다.

    그 시점은 아무도 알 수 없지만 각종 원자재, 환율 안정 등을 기반으로 반드시

    안정이 될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단 한국의 경우, 수출지표가 좋아져야 합니다. 수출이 지금 IMF이후 최장기간 적자 신기록 경신 중입니다.

    더 안좋은건, 주요 국가들의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점입니다. 중국 무역지수가 매달 두자릿수 이상 감소 중이며, 유럽도 지금 경기침체다 보니 수출이 상당히 안좋습니다. 즉,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국가이므로 다른 국가들이 안좋으면 직격타를 받습니다.

    내년 하반기 부터 풀린다고 하나, 그 전까지는 계속 안좋을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분간 국내 경제는 전기비 0%대 성장세가 지속되고, 경기선행지수가 하락세로 재전환되면서 경기 둔화 또는 침체 우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23년 한국 경제는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면서 2022년에 비해 성장률이 소폭 둔화될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경기가 좋아질거같진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경제는 정상화를 위한 과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물가상승률이 매우 높아져 금리인상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결국 물가가 어느정도 잡히거 고용지표 등이 개선된다면 다시 금리인하 등 경제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나오게 되어 다시 좋아지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