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일등보윤
일등보윤23.12.03

이방원이 정몽주를 숭상하게 한 이유가 무엇가요?

1398년 조선에서는 정안군 이방원이 왕위 계승권을 들고 난을 일으킨 날이죠

당시 이방우의 부재로 태조 이성계는 후계자를 정하는 일에 막내인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는데요


이에 이방원은 사태의 원인인 정도전 일파와 세자를 처단하기로 마음먹고 제 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킵니다

그리고는 정도전을 시해하고 이방원이 조선은 정도전을 역적으로 여기고 정몽주를 숭상하는 나라로 만들었는데요


때문에 태조 ~ 성종까지 정몽주를 따르는 사림파가 생겨났습니다

그런데 이방원은 왜 정몽주를 숭상하도록 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를 때려잡은 태종 이방원은 충절을 강조하기 위하여 자신의 즉위 원년에 정몽주를 영의정으로 추증하고 익양부원군으로 봉하였으며 세종은 삼강행실도에 정몽주의 충절 항목을 실어 그의 충절을 본받게 하고자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의 충성과 절개를 높이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의 안정과 왕권 강화를 도모하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와 같은 경우 많은 선비들의 존경을 받는 등

    이를 따르는 세력이 많기에 여지를 남겨놓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이 아니라 이성계가 정몽주를 귀하게 대했다고 합니다. 이성계는 정몽주의 높은 성리학 성취도와 탁월한 외교 능력을 매우 높게 평가하였기 때문에 비록 현재의 정적이기는 하지만 어떻게든 설득하여 자신의 사람으로 만들고 싶어 했는데 이성계는 그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지만 생각했을 뿐 그를 제거할 생각은 전혀 없었지만 이방원은 자신의 편이 되지 못할 바에야 제거 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의 평가를 보면 , 그는 충효를 높게 평가하는 유교 국가 조선에서 좋은 평가를 얻은 인물입니다.

    이방원은 난을 일으켜 정권을 잡았기 때문에 충효를 강조,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니 정몽주를 일부러 높여준 것으로 해석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