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되알진치와와155
되알진치와와15524.01.07

기온이 높으면 비 기온이 낮으면 눈이오는건가요?

겨울철에

기온이 0도 이상이면 보통 비가오고

기온이 영하면 눈이오는게 맞나요?

결국 내리는건 똑같은데 비가 낮은기온을 만나 눈이되는건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높으면 비가 오고, 기온이 낮으면 눈이 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비는 구름 속의 물방울이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물방울은 공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온도가 높을수록 많이 응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온이 높으면 물방울이 많이 만들어져 비가 많이 오게 됩니다.

    눈은 구름 속의 얼음 알갱이가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얼음 알갱이는 물방울이 땅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져 얼어붙은 것입니다. 따라서, 기온이 낮으면 얼음 알갱이가 많이 만들어져 눈이 많이 오게 됩니다. 결국, 비와 눈은 모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기온에 따라 물방울이 얼어붙느냐, 얼지 않느냐에 따라 비와 눈으로 구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0도 이상이면 비가 오고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눈이 내립니다.

    겨울철에 기온이 0도이상이면 비가 내리는건 대기 중의 수증기가 구름속을 떠다니다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얼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때 기온이 영하가 되면 대기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서 눈결정으로 변해서 눈이 내리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