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5.10

박정희 대통령 시대를 유신정권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보통 대통령 이름을 따서 말하지 않나요?

박정희 정권이라고 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유신정권의 유신은 무슨 뜻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2년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헌법을 새롭게 고친 10월 유신 이후의 정권을 유신정권이라고 합니다. 유신은 사전적 의미로 기존 제도를 없애고 모든 것이 새롭게 개혁한다는 의미로 10월 유신은 10월에 헌법을 새롭게 고쳤다는 걸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신 체제의 성립(1972)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정희 정권이 대내외적 위기감을 극복하고 독재 기반을 강화하여 영구 집권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대외적으로 냉전 체제가 완화되기 시작하면서 닉슨 독트린으로 미·중 수교와 주한미군 일부 철수 및 남북 교차 승인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국내적으로는 경제 불황으로 국민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야당의 득표율이 증가하였다. 이에 박정희 정권은 국가 안보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평화 통일을 위해 정치 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렇게 해서 정부는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를 해산하였으며 정당 및 정치 활동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10월 유신을 선포하여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없애고 권한을 대폭 강화한 유신 헌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맞서 독재 체제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발생했으며, 국제 사회의 비판여론이 이어졌다. 이에 독재 타도, 민주 회복, 유신 헌법 개정을 위한 운동이 학생과 재야 세력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박정희 정권은 긴급 조치를 통해 탄압하였다. 또한, 이 시기 인권 탄압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판이 고조되면서 대미·대일 관계가 악화되었다. 하지만 석유 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1978)와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적 비판으로 제10대 국회 의원 선거(1978)에서 야당 득표율이 더욱 증가하였고 치열한 노동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반독재 운동이 이어졌다. 이후 이러한 움직임은 부·마 항쟁으로 절정을 이루게 되었고 뒤이어 10·26 사태(박정희 피살)가 일어나며 유신 체제는 종말을 고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신체제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통령에게 헌법 효력까지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 부여. 국회 해산권 및 모든 법관 임명권을 대통령이 갖도록 하여 대통령이 3권 위에 군림할 수 있도록 보장. 대통령의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고, 연임 제한을 철폐하여 종신 집권을 가능케 함.

    -출처: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2년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헌법을 새롭게 고친 10월 유신 이후의 정권을 유신정권이라 하며

    유신은 사전적 의미로 기존 제도를 없애고 모든 것이 새롭게 개혁한다는 의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