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철학은 어떤 것을 실존철학이라고 하나요?
19세기에 들어 나온 실존철학은
다른 철학의 사조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건가요?
실존철학이란 무엇이며
실존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들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 합리주의적 관념론 및 실증주의적 사조에 대한 반동으로 생겨난 사조로 주체적 존재로서의 실존을 중심개념으로 하는 철학적 입장 및 그 20세기적 계승을 크게 실존철학이라 합니다.
대표 인물로는 가브리엘 마르셀,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장폴 사르트르, 카를 야스퍼스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은 반이성주의와 비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사상으로 제1차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지상주의로 비인간화 인간성상실과 인간소외현상에 대해 주체성회복을 통한 극복을 주장한 사상입니다. 실존주의는 신을 긍정한 유신론적 실존주의자로 신 앞에 선 단독자를 주장한 키르케고르 한계상황을 주장한 야스퍼스 마르셀 등이 있고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로 존재와 시간을 쓴 하이데거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주장한 싸르트르 그리고 부조리문학을 통한 인간 실존을 강조한 까뮈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의 합리주의적 관념론 및 실증주의적 사조에 대한 반동으로서 생겨난 사조. 주체적 존재로서의 실존을 중심개념으로 하는 철학적 입장 및 그 20세기적 계승을 크게 실존철학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 마르셀, 사르트르, 메를로 퐁티 등의 철학이 여기에 속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실존철학을 표방하고 있는 것은 이들 중 야스퍼스뿐이다. 하이데거는 자신의 입장을 '현상학적 존재론'이라 불렀고, 사르트르 등의 프랑스 철학자들은 폭을 넓혀 문학상의 주장까지 포함한 그 사상적 입장을 '실존주의'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출처 : 철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