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리플은 탈중화가 아니라는 이유는 뭔가요?
리플(ripple)은 전 세계 여러 은행들이 실시간으로 자금을 송금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로 스위프트를 잡기위해 나온 코인으로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리플은 비트, 이더, 이오스등과 다르게 탈중앙화가 아니라는 말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유는 뭔가요?
사람에 따라 견해 차이가 있겠지만 저는 리플 블록체인의 경우 중앙화된 성격을 가진 블록체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는
리플의 경우에 블록체인 상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노드들이 자사 대표 노드 외에 선택된 비교적 소수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중앙화된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합의 시스템에서 대표 노드들과 소수의 선택된 노드들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블록체인의 운영에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블록체인들도 노드들 간에 해시레이트 차이가 있지만 리플의 경우는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트랜젝션 처리와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수가 적은 데다가 대표 노드 또는 인증된 검증 노드 UNL(Unique Node List)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이렇게 소수의 대표 노드를 중심으로한 블록체인의 운영 방식은 실제로 블록체인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는 사태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뒷받침하는 사례가 바로 얼마 전에 있었던 스텔라의 트랜젝션 완전 동결 사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는 리플에서 하드포크된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리플과 비슷한 노드 운영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이번에 트랜젝션 완전 동결 사태가 빚어진 이유가 스텔라 재단에서 운영중인 대표 노드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대거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됨(블록체인 노드 중단)에 따라 트랜젝션의 처리를 위한 합의에 도달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할 때 리플 블록체인의 경우에도 안전하다는 보장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리플 블록체인의 경우에 탈중앙화되어 있다기 보다는 중앙화된 성격을 가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리플의 토큰 이코노미와 관련하여서도 중앙화된 성격이 있는지 살펴 봐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리플 사가 자신들 마음대로 시장에 유통 물량을 푸는 것은 아니며 리플 레저에 에스크로 계좌를 만들고 그러한 계좌를 순환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시장이 요구하는 만큼 유통함으로써 유통량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플사가 마음대로 물량을 푸는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이것을 중앙화되어 있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발행된 리플 코인을 회사가 직접 유통한다는 사실이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대표 노드를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의 운영, 리플 사가 코인을 직접 유통한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는 리플이 중앙화된 성격이 강한 블록체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리플의 중앙화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리플은 허가된 사용자만이 리플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프라이빗 체인" 형식으로 지원하기 때문입니다.(퍼블릭 체인은 익명의 사용자도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리플은 별도의 BP노드을 운영하지 않고, 사전에 접근이 허용된 은행들간의 분산원장 공유해 운영되는 "실시간결제시스템(RTS:Real time Settlement System)" 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리플은 자체적인 투표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전에 신원이 확인된 "유니크 노드 리스트" 상에 등록이 되어야만 투표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플의 의사결정에는 소수의 참여자에 의한 투표로 진행됩니다.(ex:은행)
따라서 리플측에서는 분산원장을 여러곳(은행들)과 함께 분산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화 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은 하지만 리플 시스템상으로는 "프라이빗 체인" 형식으로 운영되기에 때문에 리플을 중앙화된 블록체인이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