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1.12

밤하늘에 별들은 왜 반짝거릴까요?

안녕하세요? 밤하늘에 별들을 보면 예쁘기도하고 신비롭기도 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별들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색상도 다르고 반짝거림도 다릅니다. 밤하늘에 별들은 왜 반짝거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별빛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대기층을 통과하는데 이때 대기층이 각각 밀도가 다르고 따라서 빛의 굴절률이 차이가 나서 이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별빛이 반짝이게 됩니다.

    별빛의 색깔이 다른건 별마다 온도가 다르기에 방출하는 빛의 색 자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별들이 밤하늘에서 반짝이는 이유는 대기의 굴절 때문입니다. 대기 중의 공기와 수증기가 빛을 굴절시키면서 별빛이 우리 눈에 도달할 때 차별성을 띄게 되어 반짝이는 것입니다. 이것은 대기의 움직임, 고온과 저온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별들의 반짝임은 별의 밝기와 색상, 크기, 온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큰 별일수록 밝게 빛나고, 푸른색 별일수록 더 밝고 빠르게 반짝이게 됩니다. 따라서 밤하늘에서 별들의 반짝임은 별의 특성과 대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들이 반짝이는 것은 지구의 대기가 움직이기 때문이다. 작은 별일수록 더욱 반짝반짝 빛이 난다. 어떤 별들은 태양보다도 수십 배 큰 것도 있지만, 지구로부터 거리가 너무 멀어 우리들의 눈에는 모두 점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사방으로 퍼진 별빛 중에서 극히 일부의 광선이 텅 빈 우주 공간을 가로질러 지구에 도달하게 된다. 그런데 지구에는 두꺼운 대기가 있고, 이 대기는 부분적으로 진하고 옅은 얼룩을 이루며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따라서 대기로 들어온 별빛은 진로가 불규칙하게 구부러지게 되므로, 우리들의 눈에도 일정한 빛으로 보이지 않고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반면에 금성이나 목성과 같은 행성은 작지만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어느 정도 면적을 가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반짝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