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꿀오소리
꿀오소리

소독차 사라진 이유 궁금합니다.

여름마다 몇 번씩 동네 돌아다니는 소독차(하얀 연기 내뿜는 트럭)가 갑자기 사라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하얀 연기의 유해성 때문인가요? 효과가 미미해서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차가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소독방식이 바뀌어 말씀하신 하얀 연기를 보기 힘들어진 것이죠.

    우리니라의 경제성장과 위생환경이 개선되면서 소독차의 효율성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말씀하신 하얀 연기에 포함된 살충제의 비율이 낮고 허공으로 빠르게 흩어져 살충 효과가 떨어지고 살충제에 대한 내성만 키울 뿐만 아니라 소독차의 소독 연기에 대한 여러 유해성도 제기되었습니다.

    따라서 경유 대신 물을 끓여 수증기를 타고 살충하는 연무소독 방식으로 바꿔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하얀연기의 소독차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막 소독차가 사라진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능한 이유들 중 몇 가지를 제시해 드립니다.


    기술 발전

    : 연막 소독차와 같은 기술은 발전하는 과정에서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대안들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더 간편하고 효과적인 소독 기술이 개발되어 연막 소독차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갖는 경우에는 연막 소독차의 사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환경 이슈

    : 연막 소독차는 연기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소독을 진행하므로, 환경 오염과 관련된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환경보호와 관련된 규제나 요구사항의 강화로 인해 연막 소독차의 사용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 소독 방법의 사용

    : 연막 소독차 대신에 더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대체 소독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막 소독차의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외선(UV) 소독이나 오존(O3) 소독과 같은 대체 소독 방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막 소독차의 사용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시장 수요 변화

    : 소독 시장의 수요 변화에 따라 연막 소독차의 사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소독 시장에서 다양한 소독 방법이 경쟁하게 되면서, 연막 소독차의 수요가 줄어들거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이유

    : 연막 소독차의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지거나, 대체되는 소독 방법이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인 경우에는 연막 소독차의 사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막에서 연무 소독으로 바뀌면서 아직 지방은 사용 해요 연막소독은 기름과 살충제를 섞어 소독해 경유로 인해 대기오염을 유발 연무소독은 물과 살충제를 섞어 뿌리는 방식으로 살충효과가 좋고 연기와 냄새가 적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1.방역은 지금도합니다

    시골은 마을시장이 하고 도시는 동사무소에서 합니다

    2.약품은 모기약+디젤기름(경우)을 함께 사용합니다

    모기가 기름성분을 싫어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금도 소독차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있습니다 다만 예전에 비해 그수가 많이 줄었는데 소독차 특유의 내새와 유해물질이 나와 건강을 해칠수 있다는 여론이 많아 줄어든 상태뿐 아주 없어지지는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많이 보였지만 요즘은 유해성 논란이

    일면서 하얀소독을 하는 소독차는 보기 힘듭니다

    대신 분무형으로 뿌려 소독을 진행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엔 해충에 의한 전염병으로 소독차가 있었던건데요. 소독차가 해충과 세균 등을 없애준다고 믿었기에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살충효과가 떨어진다는 결과와 대기오염 등으로 다른 방식으로 소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과거 소독차라고 하던 연막 소독 방식에서 보다 친환경적인 연무소독 방식으로 바뀌어 과거 소독차가 안보이는 것이라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 가난하고 못살던 시절엔 각종 질병이나 병충해로인한 피해를 줄이기위해 소독차가 돌아 다닌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득이 상승하고 개인위생과 공중 위생이 발전하고 발달함에

    따라 굳이 소독차를 운영할 필요가 없어진게 아닌가 합니다 . 물론 아직도 낙후된 지역이나 모기등이 많이 생길것 같은 곳은 운영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 미군으로부터 전수받은 살충 방식인데요..등유나 경유에 살충제를 넣어 가열연막 방식으로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소음과 엄청난 연막을 뿌리며 온 동네를 살충하던 식이었죠.

    일부에서는 살충효과가 없을뿐더러 인체에 유해하다는 얘기로 방제,방역이 중단되었으나..국립보건원에서 평기시험결과 50%이상 및 말라리아 모기 살충에 70~90%까지 살충하는 효과 검증을 했다고 하네요

    그러나...최근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 방역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방역 전문 민간업체에서 일부 농촌지역이나 하수구 밀집, 아파트 단지 일부 지역만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차는 주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었는데요, 최근에는 소독제 뿌리는 장비가 발전하면서 소독차를 대체하게 되어 사라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기를 뿜어내는 연무형 소독차는 유해성 논란때문에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연무형 소독차는 소독제를 등유같은 기름에 혼합해 살포하던 방식으로 많이 흡입하면 건강에 유해한 방식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차 자체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단, 질문자님께선 질문하신 하얀 연기는 더 이상 사용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소독의 역할을 하는 이 하얀 연기의 유해성 논란이 점점 커지면서 각 지자체는 경유 대신 물을 연소 시켜 수증기를 타고 살충하는 연무소독 방식으로 바꾸기 시작하였고, 연기와 냄새가 없는 것이 큰 장점이며,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소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차에서 뿌리는 용액에는 살충제성분이 있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소독차의 연기의 성분은, 유독성 살충제를 등유에 희석하여 고열의 기화점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도록 하는 원리로 되어있습니다.

    → 과거 방구차라고도 많이불렸고 뒤따라 다니기도 했습니다만, 미량이라도 인체에는 유해하니 혹시나 마주치더라도 따라다니지 않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