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와 잇몸 사이가 파져 레진은 오래 가나요?
치아와 잇몸 사이가 파져 한 4년 전에 레진이라는것을 했습니다. 그런데 요즘들어 또 시리기도하고 파진 치아가 보이기도 하네요. 레진 종류는 어떤것이 있고, 오래가는것이 따로 있나요? 그리고 얼마나 사용할수 있고 치료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 일반적으로 씹는면의 레진치료는 몇년사용하면 틈이 생겨서 2차 충치가 생길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경부 마모증을 치료받으신경우에는 치아가 힘을 받는 부위라 잘떨어지는 부위중에 하나입니다. 레진의 종류가 오래가는건 아니고 보험되는 재료는 좀더 잘떨어지고 레진은 더 오래가는 재료입니다. 치료주기는 따로 정해진건 아니고 치과를 정기적으로 다니시면서 검진후 떨어지거나 깨진부위는 다시 치료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 레진은 따로 오래가는 것은 없습니다. 보통 3~5년정도마다 교체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 레진 종류는 제조사의 제품명만 다를 뿐 근본적으로 모두 같습니다. 즉 오래 가는 것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나 세대별로 레진 등의 접착 기술은 나눠져 있습니다. 현재 어느 부위 치아에 적용하는지에 따라 사용주기가 다를 수 있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구강 습관 등에 의해 조기 탈락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존하는 심미치료 중에서 레진은 강도가 높고 접착력도 큰 편입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 칫솔질이나 과도한 교합에 의해서 치아의 옆면이 깎이는것을 마모증이라고 합니다. - 마모증이 있는경우에는 레진이라는 치과용 재료로 메꿔서 시린증상을 줄일수 있어요. - 마모증이 생기는 원인을 제거한다면 부착한 레진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 레진의 일반수명은 5년정도 입니다. - 레진의 종류에는 중합방식에따라 광중합형, 자가중합형, 복합중합형이 있습니다. - 흐름성에 따라 유동성 복합레진, 응축형 복합레진이 있습니다. -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