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D와 주식선물거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CFD의 차액결제거래방식과 주식선물거래와 방식이 서로 매우 비슷한 구조인데요.
그렇다면 이둘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물의 경우 중앙 거래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같은 가격에 같은상품을 거래하게 되지만 CFD는 양자간에 적절한 가격이라고 생각되는 가격에 거래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와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는 투자 상품을 보유하지 않으면서
차후 가격 변동에 따른 차익만 정산하는 장외파생상품이며
선물거래와 같은 경우에는 미래 상품의 가격을 예측하여 이것에
베팅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 거래와 주식 선물 거래는 모두 파생상품 거래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소유권 개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CFD 거래는 거래 상품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실제 자산을 소유하지 않습니다. 즉, CFD 거래자는 주식, 화폐, 지수 등 다양한 자산에 대한 계약 가격을 살고 팔 수 있지만, 해당 자산의 실제 소유권은 없습니다. 그리고 CFD 거래는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하여 작은 예수금으로 큰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주식 선물 거래는 주식 시장에서 특정 날짜에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선물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물 계약의 만기일에는 실제 자산을 인수하거나 인도합니다. 주식 선물 거래에서는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할 수 있으나, CFD 거래와 달리 주식의 실제 소유권이 거래자에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와 선물거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유효기간'의 유무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선물 상품의 경우에는 '만료일'이라는 것이 존재하지만 CFD의 경우에는 '만료일'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CFD는 선물거래에 비해서 더 긴 시간동안 해당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이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진입가격과 청산 가격의 차액(매매 차익)만 현금으로 결제하는 장외파생계약입니다.일종의 총수익스와프(TRS) 거래입니다. TRS는 증권사가 차입(레버리지)을 일으켜 대출해 주고 매매에 따른 수익은 투자자가 가져가는 신종 파생상품입니다.주식선물거래는 지수에 대한 투자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200 지수가 한달뒤에 상승인지 하락인지 예측하여 상승 혹은 하락에 투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수익 또는 손실이 나는 것입니다. 주식선물거래는 내가 원하는 결과가 아니어서 만기일까지 보유하였다면 정해진 만기일에 강제청산 되니 투자에 유의하셔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