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도정치가 생긴 이유가 뭘까요? 왕권의 약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왕의 친인척이나 신하가 강력한 권력을 잡아서

마음대로 하는 정치를 세도정치라고 하잖아요?

근데 어떻게 왕이 가만히 안있을 것 같은데 그게 가능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도 정치란 힘 있는 몇몇 가문이 왕권을 넘어서는 힘을 가지고 정치를 좌지우지 했던 조선 후기의 정치 모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왕과 신하들이 균형 있게 권력을 나누어 가져야 나라를 올바르게 이끌어갈 수 있는데, 정조가 죽으면서 그 균형이 깨졌습니다.

      특정 가문이 막강한 권력을 가지게 되어 부정부패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고합니다.

      조선 후기에 세도 정치가 생긴 이유는 어린 왕이 갑작스럽게 왕위에 오른탓이라고합니다.

      이런 경우 왕실의 큰어른인 대비가 수렴청정을 하며 정치를 대신했고, 이 과정에서 대비 가문의 세력이 커질 수밖에 없없죠.

      조선 후기에는 세자가 갑작스럽게 죽거나, 왕이 후손을 낳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는 문제가 거듭되며 몇 대에 걸쳐 계속 이어졌고 일찍 왕위에 오른 순조도, 순조의 뒤를 이어 순조의 어린 손자인 헌종이 왕위를 이으면서 세도정치로 권세를 누렸습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정치이념으로 볼 때 국정의

      정점에 있어야 할 국왕의 권력과 권위가 크게 약화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세도(世道)란 ‘세상 가운데의 도리’란

      뜻으로서, ‘그 도리를 이끌어나갈 책임’을 함께 뜻하기도 했다.

      세도의 책임은 원래 국왕에게 있어야

      하지만, 조선후기에 신료의 발언권이

      강해짐에 따라 유학자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산림(山林)이 세도의

      담당자로 지목되곤 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도 정치란, 왕실의 외척과 같은 특정한 가문이 왕의 신임을 얻어 정치 권력을 독점하는 비정상적인 정치를 말하는데 가장 유명한 세도가문은 조선후기의 안동김씨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사실상 왕의 권력이 중국 황제처럼 강했던 게 아니라서, 정승, 판서 등 사실상 실권을 세도가문이 모두 차지하게 되면 왕이 뭐 어떻게 하고 싶어도 하지를 못했던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정조 사후, 노론 시파가 등장하면서 세도정치라는 '역사의 반동'이 나타난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