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월미만 근로자 퇴사후 연장근로및 일급계산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이전 질문이 너무 간략해서 자세히 씁니다
근로계약서상의 소정 근로시간은 10~22시이며 휴게시간은 16시~17시로 1시간입니다
월급은 2,800,000원
주1회 휴무이고
5인미만 사업장일때
2월8일 10시출근 밤 11시퇴근
2월9일 10시 출근 밤 10시퇴근
2월10일 설 휴무
2월11일 10시출근 밤 10시퇴근
2월12일 10시 출근 밤 10시 퇴근
일때 사용자측에서 임금을 37만원만 준다 했을때 이는 최저임금법 위반사항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5인미만 사업장일때
2월8일 10시출근 밤 11시퇴근
2월9일 10시 출근 밤 10시퇴근
2월10일 설 휴무
2월11일 10시출근 밤 10시퇴근
2월12일 10시 출근 밤 10시 퇴근
일때 사용자측에서 임금을 37만원만 준다 했을때 이는 최저임금법 위반입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일단 월급자체가 문제가 있습니다. 휴게시간 제외 하루 11시간 주6일 근무를 하였다면 주휴수당 포함
월 최저임금은 3,170,285원으로 산정이 됩니다.
2. 중도퇴사시 월급여는 일할계산이 되므로 2월 8일에 입사하여 2월 12일까지 일하고 퇴사를 하였다면
3,170,285 x 5 / 29로 계산하여 546,601원으로 산정이 됩니다.
3.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12시간, 11시간, 11시간, 11시간 근로하여 총 45시간 근로하였다면 이에 대한 임금으로 37만원 지급은 최저임금 미달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월급여는 최소 "(11시간*6일+주휴 8시간)*4.345주*9,860원= 3,170,290원(세전)" 지급해야 하는 바, 근로계약서상의 월급여는 최저임금에 미달한 임금으로 기재된 것으로 보이며, 월급제 근로자라면 2.8~2.12.까지 근무하고 퇴사 시 "3,170,290원/29일*5일=546,602원(세전)"으로 일할 계산된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