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은행 15% 관세 반영해도 충격 크다고 본 이유는 뭘까요?
한은이 미국과 협상해 관세율 15%로 낮췄지만 0.45%포인트 성장률 타격 예상이라더라고요. 이게 무역 실무에도 곧장 느껴질까요? 어떤 준비가 필요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율이 낮아졌다고 해도 여전히 15%라는 수치 자체가 적지 않은 부담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요 수출 품목이 소비재나 중간재 중심이다 보니 단순히 가격이 오르는 문제를 넘어서 거래 상대방이 다른 국가로 발주를 돌릴 가능성도 커집니다. 수출자는 당장 원가 계산에서 마진이 줄고, 수입자는 재고 부담이나 소비 위축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무역 실무에서는 계약 조건 재검토나 선적 시점 조정 같은 대응이 빠르게 이뤄져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우회 수출 구조나 FTA 활용을 더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한-미 FTA에 따라 실질 관세율이 0%에 가까웠지만, 없었던 15%의 관세가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수출경쟁력이 악화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관세는 수출비용 가격경쟁력에 대한 중대한 부담으로 남게 되며, 하반기의 수출환경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이에 대하여는 결국 관세율로 인하여 미국의 판매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이미 대부분의 업계들은 4분기 수출물량이 예정된 바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업들 입장에서는 이러한 위기 속에서 기업이 생존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