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9.22

석굴암은 어떤 아름다움과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나요?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석굴암은 어떤 아름다움과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나요?

특히 내부의 조각 및 조형 요소는 어떻게 배치되고, 표현되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의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석굴암은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의 유일한 인조 석굴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합니다.
    석굴암은 불국사와 함께 토함산을 불국토로 구현하고자 했던 김대성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어 당대인들의 불국토사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석굴암은 신라인의 믿음과 호국정신의 요람으로 볼 수 있으며 신적, 조형적인 면 모두 신라 미술의 절정을 이룬 석조 미술품입니다. 이는 같은 불교권인 인도·중국이 천연 암벽을 뚫어 조성한 천연석굴과 달리 백색의 화강암재를 사용해 인공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그 내부에 있는 장방형의 전실과 원형의 주실을 통로로 연결하였습니다. 주실은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궁륭(dome형) 천장을 정교하면서도 과학적으로 구축한 뛰어난 건축기법을 보여주는 세계 유일의 인조 석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의 구조적 특색은 화강암의 자연석을 다듬어 인공적으로 축조한 석굴사찰이라는 점으로 이 같은 토목기술을 바탕으로 이룩된 석굴의 기본적인 평면구조는 전방후원의 형태를 취하며 네모진 공간의 전실과 원형의 주실로 나뉩니다.

    주실에는 단독의 원각보존상을 비롯해 보살과 제사장 등이 있고 전실에는 인왕상과 사천왕상 등을 부조하여 배치, 이 전실의 기능은 곧 예배와 공양을 위한 장소입니다.

    천장은 궁륭형의 둥근양식으로 그 위에 연화문의 원판을 두어 천개로 삼으며 조각상의 배치는 전실부터 시작해 팔부신중 8구, 인왕 2구, 사천왕 4구, 천부 2구, 보살 3구, 나한 10구, 감불 8구와 본존여래좌상 1구가 있으며 이들 배치에 있어 두드러진 특징은 좌우가 대칭을 두는 것으로 이는 고대 조형미술의 기본원칙과 같은 것이기도 하여 석굴의 안정감을 강조하는 구실도 합니다.

    조각상 가운데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은 본존여래좌상으로 이 석굴 자체가 본존상을 봉양하기 위해 조영된 만큼 그 의미가 매우 크며 예배의 주대상이 곧 이 보존상임은 물론 중앙에 자리잡아 석굴의 내부공간을 구획한 신라 조각미술의 결정이며, 보존상은 연화문이 새겨진 대좌위에 결가부좌하고 있습니다.

    광배는 석굴 후벽의 천장 밑에 둥근 연화판석 1매로 조성, 이는 전실의 법당에서 본존상에 예배할 떄 동일시각 위에 놓여지는 치밀한 계산에 따라 처음부터 마련되었던 것입니다.

    본존상의 양식적 특징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7세기 후반부터 유행해 고려 전기에 이르기까지 계속된 여래좌상의 기본양식으로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벗고 왼쪽 어깨가 가사를 걸친 우견편단양식을 보이며 수인은 악마의 유혹을 물리친다는 항마촉지인을 결 하고 있으며 머리 위에 육계를 표시, 머리는 나발 , 상호는 원만한 모습에 자비를 지니고 있습니다.

    신부는 매우 당당할 정도의 거구로 장부의 상을 보이며 목에 삼도가 있고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놓고 두번째 손가락을 다음 손가락 위에 겹쳐 운동감을 주며, 왼손은 두 발 위에 놓아 편안한 자세를 보이며 본존상의 신앙적인 의미와 조형적인 가치가 훌륭히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부드러운 자태와 인자한 표정에서 고도의 조각술을 살피며, 이는 궁극적으로 불교의 구원상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은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에 지정된

    세계문화유산으로 석굴암이 특별히

    아름다운것은 세계 유일의 인조 석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