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저학년과 고학년의 교육의 변화는
초등학생을 교육할 때 초등학생 저학력과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해야 할 것 같은데 고학년과 저학년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다르게 교육을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저학년 때의 공부는 습관을 잡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한번에 하는 공부양에 집중하시기 보다는 조금씩이라도 매일매일 정해진 분량을 할 수 있게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중요한 것은 주도적으로 공부 계획을 세우고 이끌어가는 내적 동기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함께 파악해보시고 좋아하는 것이 잘하는 것이 되도록 노력하면서 진로 방향을 설정하고 꿈을 심어주시면서 공부에 대한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굳이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별할 필요가 없습니다. 구별하여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1~3학년까지 학년 4-6학년을 고학년이라고 하는데요.
각각 학년 별로 수업을 합니다.
수학을 예로 들어보면
저학년은 사칙연산을 주로 배웁니다.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위주로 배우죠 1,2,3학년까지 입니다.
그리고 고학년 들어가면
사칙연산을 가지고 응용을 합니다.
소수, 분수의 사칙연산, 도형, 방정식등등
즉 저학년때 배운 사칙연산(기본)을 가지고 수학의 틀을 쌓는 과정을 거치는 겁니다.
단순히 저학년에서 고학년 이분법적인 변화로 보긴 어렵고, 학습이란것이 단계가 높아질 수록 내용의 깊이가 깊어지고, 내용의 범위가 넓어지는것으로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따라서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간다 생각하고 부족하면 다시돌아가며 쌓아간다 생각으로 학습에 임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우선 초등학교 6년을 총 3가지 학년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 이렇게 분류하고 있습니다. 저학년에는 1,2학년이 중학년에는 3,4학년이 고학년에는 5,6학년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류하는 기준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각 영역별 학년별 교육 내용이 학년군 별로 묶어져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