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에 새마을이라고 적힌 기가 걸려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공공기관에 보면
태극기와 그 기관을 상징하는 기
외에 '새마을'이라는 기가 함께 걸려있는데요.
그 이유가 과거
'새마을운동'과 관련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답부터 얘기하면 오래된 관행일 뿐 아무런 법적인 근거는 없다.
광명시청 청사 국기게양대에는 태극기, 경기도기, 광명시기, 새마을기가 나란히 게양돼 있다. 국기는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제 6조)’에 근거하고 있지만 새마을기는 언제부터 어떤 의미로 왜 걸려있는지 알지 못하고 시대착오적 행정이라는 지적도 나올 법하다.경로당 앞에서 더 마음 가는 깃발은 ‘새마을기’다. 펄럭이면 펄럭이는 대로, 늘어져 있으면 늘어진 대로 반갑고도 찜찜하다. 새마을기는 오천 년 민족의 숙원인 가난을 물리친 우리 시대의 찬란한 발전상징이 아닌가. 한데, 우리 지역 초, 중등 교육의 현장에는 새마을기가 안 보인다. 몇 해 전, 이웃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 일하러 갔다가 푸른 하늘에 펄럭이는 새마을기를 만나 얼마나 반가웠던지!…. 늘 깨어있는 학교라는 마음이 들었었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란 공자의 말씀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죽은 걸까. 지난 수년간 온 사회가 정치 모리배들에 의해 날조되고 유린당해도, 우리의 자유 민주주의 자정(自淨) 시스템은 작동하지 못했다. 국가사회의 공익보다 제 편의 사욕만 채우며 가르기만 일삼던 내로남불 비양심 정치꾼들…. 양의 탈을 쓴 가짜 우파, 가짜 좌파들이 판을 치고 나랏돈을 쌈짓돈 삼아 쓰며, 사회를 병들게 해 왔다.
출처 : 선데이광명(http://www.sundaygm.com), 경북매일(http://www.kbmaeil.com),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을기는 새마을 운동을 상징하는 대한민국의 기 입니다.
1976년 2월 7일 제정된 의정에서 관공서에서 새마을기를 대한민국의 국기, 기관의 기와 함께 게양해야 할때 국기를 1순위, 새마을기를 2순위, 기관의 기를 3순위로 게양해야 한다고 규정했습니다.
그러다 김영삼 정부 시절 운영되었던 국무총리실 산하 행정쇄신위원회는 1994년 새마을기의 게양 여부는 각급 기관 또는 단체장이 국민정서나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결정한다고 규정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이었던 197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총무처 지침으로 새마을기를 걸도록 강제했다. 위치까지 콕 찍어 태극기 다음으로 걸게 했다. 이후 1994년 게양 여부를 각급 기관에서 자율 결정하도록 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