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물과 얼음의 부피 차이는 왜 나는걸까요?
물이 얼음으로 변하면 부피가 커지는데요~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부피가 팽창하는 원인은 무엇인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일반적인 물질들과 달리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고 밀도가 작아집니다.
물 분자들끼리는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낮아지면 물의 분자 운동이 약해지고 육각 고리 모양의 결정을 이루면서 빈 공간이 생깁니다. 그렇게 되면 빈 공간 때문에 얼음의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물의 온도가 내려가면 어는점으로 인해 불규칙하게 움직이던 분자(액체)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게 됩니다.
이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는 것이 고체인 얼음입니다.
이때 물 분자가 배열이 되면서 분자들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 때 입자들은 육각형 형태가 됩니다. 육각형 사이의 공간이 생겨 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에 물이 얼어서 얼음일 때
부피가 더 큰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산소와 수소원자가 특이적인 각도로 꺾여 분자를 이룹니다. 이 과정에서 정전기적인 극성을가져 한쪽은 마이너스 한쪽은 플러스 전기성질을 가집니다. 이 정전기적 인력에의해 분자끼리 서로 인력을 만들고 결정형태로 달라붙게됩니다.
이 결합을 수소결합이라하고, 고체인 얼음이될때 가장많은 수소결합을 하는데, 이 결합들 사이 빈공간이 발생하여 얼음의 부피가 더 커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