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와 국내 금리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최근 물가 상승률 등의 이유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는 결정을 해왔는데, 이게 한국의 기준금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걸까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도 꼭 따라가야하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서민경제가 어려움에도 대통령이 외교에만 몰두하는 것으로 알수가 있습니다 - 수출의존도가 높기 때문이죠. 무역으로 돈을 벌어야 하는데 미국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합니다 끌려가죠 - 금리를 올리니 따라가다가 국내 저소득층이나 가계부채 소상공인부채의 금리가 더 오르고 - 소비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 소비가 안된다는 것은 기업입장에서 매출이 줄어드는 거고 세금이 덜 걷힌다는 거죠 - 무작정 따라가면 파산자가 늘어갑니다 이 상황에 전기수도세등 민생경제를 올리는 건 좀 답답한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양국의 금리에 차이가 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지금처럼 미국의 금리가 훨씬 높아지면, 국내에 있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원화가치 또한 절하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의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을 이르킵니다. 특히 채권에 투자한 투자자라면 안전하고 이자를 더 높게 주는 미국의 단기 국채에 투자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달러가 유출되고 우리나라의 외화 보유액은 줄어들게 됩니다. 외화부유액의 감소는 국가신용등급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 미국의 금리에 따라가야 하지만 국내 여건의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기준금 리인상은 기업,가계부채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얼마전의 새마을 금고사태가 또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은 달러의 기축통화국가로 미국의 금리인하는 경제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경제의 기반이고 결제는 달러로 이루어지므로 금리인하로 인하여 한미간 환율이 변하면 손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금리가 높다면 - 굳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외인 등이 우리나라에 - 투자를 할 요인이 사라집니다. - 그렇기 때문에 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어느정도는 따라 가지만 각국의 물가나 경제 상황에 맞게 결정하기 때문에 미국이 인상했다고 한국이 추가적인 인상을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한국 금리가 미국 금리를 꼭 따라가야 하는 법은 없습니다. - 하지만,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 받는 나라의 금리가 그렇지 못한 나라의 금리보다 높아지면 -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돈을 그 곳 (미국) 에 맡기게 될 것입니다. - 그렇다면, 나머지 나라들이 취할 수 있는 액션은 미국보다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길 외에는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