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후생의 관점에서 미국 금리에 동조하는 정책보다 국내 물가와 경기 여건에 따라 운용하는 독립적인 통화 정책의 효용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우선 미국 금리 인상의 요인을 수요 증가가 동반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기준으로 분류했다. 미국 수요가 확대되면, 미국 상품뿐만 아니라 한국 상품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므로 미국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한국경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미국 수요가 내생적으로 축소되는 형태의 금리 인상은 미국 경기와 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기준 금리는 글로벌 자산 시장의 벤치마크입니다. 한국의 금융 시장 또한 미국 자산 시장 수익률을 벤치마크합니다. 한국 주요 기업들이 삼성전자 등 수출을 기업이라 미국의 현재와 같은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지되면 당연히 미국의 기준 금리와 경제 상황은 한국 기준 금리와 주요 수출 기업 실적과 주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리면 일정 금리차를 유지하며 한국도 기준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탈하고 환율 또한 지금보다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무조건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금리변동의 정책을 어느정도 따라가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금리변동의 결정은 국가별로 하는 것이고, 각 국가의 경제상황에 맞춰서 진행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미국을 따라가지는 않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정권교체 등 많은 이슈가 있어 실제 금리를 많이 올릴지에 대해서는 추이를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