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는 어떻게 써야 잘쓰는걸까요?
요즘 씀씀이를 되돌아보고 있는데 너무 많이 쓰더라고요 ㅜㅜ
가계부를 써볼까하는데 어떻게 써야할까요?
일별로 막연하게 쓰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별로 쓰는것도 좋지만, 작성하기 전에 먼저 예산 계획을 세우는것이 중요합니다.
계획을 세운 후에 일자별로 항목에 대한 금액을 작성합니다.
한달정도 작성 한 후에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분야에 소비를 많이하는지 확인을 합니다.
가계부를 작성하는건 효율적으로 돈을 관리하기 위함이므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다이어리 식으로 만들었습니다 엑셀 파일에다가 하나는 날짜별로 중요했던 일들 작성을 하고요 한 군데에서는 수입과 지출 대출 잔액 금리 이런 것들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스마트폰 어플 앱에 가계부 어플이 매우 잘 되어 있습니다. 일별 지출을 식비, 문화생활비, 통신비 등 섹터별로 정리하고 전월대비 증가항목이 있다면 왜 증가했는지 보면서 소비를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꾸준히 쓰는 게 어렵기 때문에 일단은 막연하게나마 쓰셔도 좋습니다.
다만, 좀 더 효과적으로 하시려면
항목 나누기: 수입과 지출, 지출에서도 고정비와 그 외로 구분하되,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로, 식비/차량/주거 등등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월말에 어떤 영역에서 주로 돈을 많이 쓰는 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
또, 개인적으로는 각 항목 별로 예산을 정해두셔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가계부를 어떻게 써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계부는 가능하면 매일 작성해야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 잘 쓰는 노하우 몇 가지 말씀드리면, 먼저 가계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계산기가 없어도 지출 정리를 하면 편리합니다. 그리고 일기처럼 쓰는 습관을 들이고 가계부 쓰기의 정석은 식비, 여가비, 교통비, 공과금, 보험료 등 항목을 세세히 나눠서 일일이 적는 것입니다. 일단 식비, 공과금, 통신비 같은 소비성 지출과 대출이자, 보험료 같은 비소비성 지출을 분류하고 소비성 지출이 저축액에 비해 많다고 생각되면 항목을 다시 두 가지로 나눕니다. 식비, 의류비 이런 식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항목과 줄이기 어려운 항목을 나누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