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어디고
어디고
23.01.09

저는 연금보험을 가입하고 10년만기를 채웠습니다

기존에 가입했던 연금보험을 10년 다채웠네요

그당시에는 뭣모르고 넣기는 했는데 보통 자기 수십의 몇프로를 연금으로 넣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경재 보험전문가입니다.여력이 되어 수입의 많은 부분이 남는 다면 많이 넣는것이 좋습니다.단 여력이 될때만 해당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기존에 가입했던 연금보험을 10년 다채웠네요

    그당시에는 뭣모르고 넣기는 했는데 보통 자기 수십의 몇프로를 연금으로 넣는게 좋을까요?

    <답변>

    월평균 수입의 5%~6%면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9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보험으로 차후 드라마틱한 이자율을 보기는 힘든시기라 봅니다.

    연금보험은 몇십년 뒤 찾아야 제기능을 하는 보험인데 물가상승률과 화폐가치를 고려하였을 때에

    이 두가지만 보장된 금액정도의 기대를 할수가 있겠습니다.

    연금보험액을 결정하는 것은 우선 국민연금이나 다른 연금수단의 금액에 부족한 부분을 개인연금으로 채우는 거라

    필요액에서 부족액을 확인해보시고 개인연금액을 결정지어야 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월 소득에 대략 10%정도의 수준으로,

    본인보험 총 보험료를 산정 하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 월보험료의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보장성 보험의 경우에는 월급의 10% 이내에서 납입하시길 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보험이나 저축성 보험과 같은 상품은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보험사 상품은 수수료('사업비')가 쎄고 납입금 대비 이익률로 따지면 그리 높지 않으므로

    연금저축을 하시려면 차라리 증권사나 은행에서, 저축성 보험 역시 은행의 예적금을 이용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험사 상품은 보장성 상품 위주로 가입하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은 수령액 기준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일단 노후시 필요자금 을 계산하고

    준비자금으로 국민연금 퇴직연금 기타 재산등등을 차가하여

    추가 필요자금을 구하고 그 재원만큼의 연금수령액을 가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형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수입의 몇프로라고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여유가 되면 많이 넣고 아니면 적게 넣는거죠.

    단지 연금은 노후에 수령이 가능한거니

    노후에 국민연금과 더불어서 월 얼마씩 수령하면 적당한지 계산해서 납입하시는게 맞을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