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를 눈이랑 멀게 해서 보면 사물이 뒤집혀 보입니다. 왜 그런건가요?
집에 과학시간에 쓰던 돋보기가 있는데 사물을 볼때 돋보기를 눈앞에 가져다 대고 사물을 보면 잘 보이는데 멀리있는 사물을 보려니깐 촞점이 맞지 않아서 눈에서 돋보기를 좀 띄어놓고 보는데 사물이 뒤집혀서 거꾸로 보입니다. 왜 그런것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돋보기를 통해 사물이 뒤집혀 보이는 이유는 돋보기가 볼록 렌즈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볼록 렌즈는 빛을 굴절시켜 초점에 집결시키는데, 렌즈를 통해 지나온 빛의 경로가 교차하면서 상이 거꾸로 투영됩니다. 평소 돋보기가 근거리에서 사용될 때는 상이 똑바로 보이지만, 돋보기를 멀리 두면 렌즈의 초점 거리의 바깥쪽에 시야에 포착된 상은 거꾸로 보이게 됩니다. 이는 물리적인 렌즈의 특성 때문이며,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아하 커뮤니티에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볼록 렌즈는 빛을 굴절시켜 모으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초점에 빛이 모이게 되며, 초점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건너편의 물체를 들여다 보면 물체보다 크기가 확대된 허상이 보인다. 초점보다 먼 거리에서 물체를 들여다보면 상하좌우가 뒤집힌 실상이 보이는데, 망원경이나 현미경 등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가 뒤집혀 보이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출처 : 나무위키 - 돋보기
즉 볼록렌즈에 의해서 한 초점에 빛이 모아지고 한곳에 모이면서 빛이 위아래가 바뀌고 그로인해서 멀면 상이 뒤집어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돋보기는 볼록렌즈를 활용하여 상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그래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면 성이 한 점으로 모인 다음에 뒤집힌 채 다시 퍼져나가는 현상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돋보기를 눈과 가까이 대면, 사물은 뒤집혀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돋보기의 렌즈와 빛의 굴절에 기인합니다.
렌즈의 굴절: 돋보기의 렌즈는 볼록 렌즈입니다. 볼록 렌즈는 빛을 집중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빛은 렌즈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데, 이 굴절로 인해 사물의 이미지가 뒤집혀 보입니다.
빛의 경로: 돋보기를 통해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 렌즈는 빛을 집중시켜 뒤집힌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이 이미지는 눈에 도달하여 뒤집혀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돋보기를 사용하면 사물이 뒤집혀 보이는 현상은 렌즈의 굴절 특성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돋보기는 볼록 렌즈로 만들어져
있으며 빛을 한 점에 모으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사물을 가까이에서 볼
때에는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눈으로 직접 들어가 선명한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하지만 돋보기를 멀찍이 떨어뜨려
사용했을 때 렌즈를 통과한 빛이
초점을 맞춘 후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뒤집힌 이미지를 보게 됩니다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모든
광선이 한 점, 즉 초점에서
교차하기 때문입니다
이 초점을 지난 후 광선은
기존 경로를 유지하면서 반대
방향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미지가 뒤집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리학에서
실상을 설명하는 기초적인
원리 중 하나입니다
실상은 렌즈를 통과한 빛이
만나는 점의 이후에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돋보기를 눈에서 멀리 떨어뜨렸을 때 사물이 뒤집혀 보이는 이유는 돋보기가 빛을 굴절시켜 실제 이미지보다 뒤쪽에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돋보기는 볼록 렌즈 역할을 하여 빛을 모아 가상 이미지를 만들고, 이 이미지는 실제 물체보다 뒤쪽에 위치합니다. 눈과 돋보기 사이 거리가 멀어지면 가상 이미지가 눈에 더 가까이 맺히게 되어 실제 물체보다 크고 거꾸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