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은혜로운날다람쥐57
은혜로운날다람쥐57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 이동을 할까요

구름은 어떤 원리로 하늘에 생기고 또 이동을 할까요

구름은 항상 하늘에만 생기는걸까요 구름 관련해서 문뜩 궁금한게 많인지네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아테나
    아테나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져서 부피가 늘어나고 ,기온이 낮아지는데 이 과정을 단열팽창이라고 합니다 .


    단열팽창으로 기온이 이슬점 아래까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되는데 이렇게 생긴 물방울이 모여 구름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의 수분이 이슬점 이하에서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입자로 되어 대기의 고층에 떠 있는 기상현상을 구름이라 합니다

    구름은 바람에의해 이동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지구 표면의 습기가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올라가면서 생깁니다. 공기 중으로 올라간 수증기는 차가워지면서 물방울로 응결됩니다. 이 물방울들이 모여서 구름이 됩니다. 구름은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합니다. 바람이 강할수록 구름이 이동하는 속도도 빨라집니다. 구름은 하늘에만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땅 바다에도 구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땅에 구름이 생기면 안개라고 합니다. 바다에 구름이 생기면 해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냉각됩니다. 냉각된 공기는 포화 상태에 이르러 수증기가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됩니다. 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서 바람의 영향을 받아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바람은 구름을 흩뜨리거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