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진기한황새230
진기한황새230

하수처리장에서 물을 깨끗하게 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우리가 사용한 물은 하수처리장으로 가게 되는데, 신기하게 물이 깨끗하게 정화되어서 강으로 방류되더라고요. 하수처리장에서 물을 깨끗하게 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장은 우리가 사용한 오염된 물을 자연으로 안전하게 돌려보내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 정화합니다.

    먼저 예비 처리와 1차 침전 단계에서는 스크린이나 침전지를 이용해 하수 속의 큰 쓰레기나 모래, 떠다니는 찌꺼기 등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합니다.

    핵심 과정인 2차 처리에서는 물속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이 미생물들이 물속의 유기물 등 오염 물질을 먹고 분해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생물학적인 정화 과정입니다.

    필요에 따라 3차 처리에서는 질소, 인과 같은 영양 물질이나 미세 부유물을 추가로 제거하여 수질을 더욱 높입니다. 마지막으로 소독 과정을 거쳐 물속에 남아있을 수 있는 병원균을 없앤 뒤 깨끗해진 물을 강 등으로 방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장에서는 크게 물리적,생물학적,화화적 처리로 이루어 집니다.

    1차적으로는 물리적 처리로 쓰레기를 걸러내며, 무거운 무기물인 모래 및 흙 등을 가라 앉혀 제거를 합니다.

    2차적으로 하수에 공기를 불어 넣어 생물이 번식하도록 유도하여 하수 속 유기물을 먹고 분해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남아 있을 수 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 과정을 걸쳐 수질 기준에 적합한지 판단하여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가정, 공장, 상업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 공공하수도를 통해 하수처리장에 유입하게 됩니다.

    유입된 하수를 1차 처리(물리적 처리)를 통해 큰 이물질을 제거하고 침전 및 부유물질을 분리하게 됩니다.

    그리고 2차 처리(생물학적 처리)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합니다.

    3차 처리(고도처리, 화학적 처리)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고 추가 정화를 하게 됩니다.

    소독을 통해 병원균 제거한 후 깨끗한 물로 주변 하천이나 강으로 방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수처리 과정에서 남은 고형물(슬러지)은 건조하거나 처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