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2.12.12

내년에 정말 전대미문의 경제 위기가 온다고 하는데..

요즘 경제석학분들이나 경제 전문가, 교수분들이 하나같이 말씀하시는 것이 내년에 정말 힘든 경제위기가 닥친다고 하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면 다소 전문적인 내용도 있고, 우리같이 문외한인 사람은 바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네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도미도,쓰나미처럼 밀려오는 경제위기는 과연 어떤 식으로 우리에게 불어닥칠까요?

이런 부분을 조금이라도 알 수만 있다면 대비책을 세워 그나마 충격을 좀 줄일 수 있지않을까요?

개인적으로 현재도 어렵지만 이보다 몇 배 더 어려운 내년에는 정말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에 닥칠 경제위기는 '고금리' '경기침체'에 의한 경제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 두 가지의 단어가 내년의 핵심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의 위기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서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금리의 상승

    • 대출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침체

    • 소비침체로 인한 기업들의 재고자산 증가

    • 재고자산 증가로 인한 기업들의 판매실적 하락

    • 기업들의 판매실적 하락 + 기업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생산원가 절감위한 긴축경영

    • 긴축경영 '구조조정' 가능성 상승

    • 실업률 상승으로 인한 경기침체의 악순환

    위와 같은 현상이 우리나라에게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위의 상황에서 수출기업들의 실적까지 하락하게 되면 무역수지의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되어 외환보유고도 점차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벌써 우리나라의 유럽 수출실적이 20%가까이 감소하고 있어 내년에는 더욱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버티는 것 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가급적 소비를 줄이고 대출을 상환하고 주식이나 코인등의 변동성 높은 자산은 매각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최대의 위기가 오지만 이 위기 뒤에는 위기를 견뎌낸 사람에게 큰 기회가 오기 마련입니다. 힘들지만 꼭 버텨내서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화이팅 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 드릴게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이 어려울 것으로 경기전망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도 수없이 많이 예측을 틀리기 때문에 리스크를

    줄이기 위하여는 현 상황에서 다소 보수적으로 투자를 하시든

    자금을 운용하시느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번에 위기가 온다면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심해져서 그 타격이 클 것으로 봅니다.

    코로나를 거치고, 제로금리 시기를 거치면서 다들 빚을 내서 투자를 하거나 소비를 즐겼거든요.

    그 파티에 대한 청구서가 내년에 올 수도 있겠습니다.

    대비책이라면 어떻게든 현금을 확보해 빚을 줄이는 것입니다.

    그러면 자산 시장이 타격을 받아 내려갔을 때, 반대로 나는 바겐세일하는 시장을 내 바구니에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빚만 없다면 아무런 위기도 아닙니다. 오히려 기회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현시점에서 내년에 전대미문의 경제 위기가 온다고 다들 예상하면 해당 경제 위기는 오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20~21세기 들어 찾아온 주요 경제 위기를 보면 대부분 예상하지 못한 때 발생하여 엄청난 파급효과를 보이며 국지적 또는 글로벌 경제 위기로 확산되며 해당 국가, 지역 및 글로벌 경제에 큰 내상을 입혔습니다. 한국이 중심에 있었던 1998년 IMF금융위기도 그렇고 2007~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도 위기 초기에는 해당 위기의 파급효과와 크기를 전혀 예상하지 못한 가운데 경제가 붕괴된 사례입니다.

    경제는 경착륙, 연착륙의 개념이 있습니다. 경제 위기는 착륙 자체가 아닌 추락입니다. 추락은 예상치 못한 때 발생하고 그럴 때 충격이 더 큽니다. 지금 위기라고 예상한다면 내년에는 우리가 우려할만한 전대미문의 경제 위기가 닥치기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수출산업(반도체, 차량, 가전)등의 부진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회복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주요 수입 품목인 에너지와 곡물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행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우리나라의 금리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시기는 보수적투자가 중요하며, 예금과 채권에 대부분의 자금을 투자한 후 금리인하의 신호가 보인다면 위험자산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