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왜 미국처럼 프리장이 없나요?
미국은 정규장 시작 전에 약 5시간이나 먼저 개방하는 프리장이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정규장이 시작하기 전에 거래가 거의 없는데 왜 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왜 미국처럼 프리장이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도 비슷한 시간외 거래가 있습니다.
다만, 미국처럼 5시간이나 먼저 개방하지는 않습니다.
한국에는 프리장이 없는 이유는 주로 거래소의 규제와 시스템 때문입니다.
한국 증시는 정규 거래시간을 중심으로 운영이 되며, 시장 안정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차원에서 사전 거래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미국은 다양한 투자자 참여와 시장 활성화를 위해 프리장 시스템을 운영하며, 이를 통해 시장의 초기 흐름을 반영합니다.
한국도 사전 거래 도입을 논의한 적은 있지만, 시장 안정성과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도
아직 확립된 제도는 아닌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는 글로벌 모든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는 시장입니다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차를 감안해서 프리장을 만든거죠
그리고 미국은 땅이 커서 동부랑 서부 시간차이가 3시간 있습니다 그러니 미국사람들을 위해서도 필요한거 같습니다
위험자산은 대응의 영역같습니다 질문자님은 대응 잘 하셔서 큰 수익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구요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정규장 이후 '시간 외 거래' 등이 있긴 하지만, 프리장은 없는데 그 이유는 미국은 영토가 넓어서 같은 미국이라도 시간이 달라 프리장이 존재하는 것인 반면 우리나라는 그러지 않기 때문에 없는 것이라 볼 수 있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프리장은 아니지만, 장전거래가 가능합니다. 8시 40분부터 9시까지 장전거래가 가능하니, 해당하는 종목군이 있다면, 이 시간에 매매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장이 끝나고 시간외 단일가 거래를 통해 매매도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