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로 감기는 낫지않는게 맞나요?
어렸을때부터 친구들사이에서 감기는 낫지 않는다고 플라시보효과 라는것을 처음 접하게 된뒤로 그냥 잊고 살았는데 이렇게 간단하게 질문과 답변을 할수있게 되어서 여쭤봅니다 단순한 루머인가요? 아니면 정말 낫지 않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또 근육통과 피로감, 설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지 않게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는 2월 1일 무증상 감염자의 전파 가능성을 재차 밝혔으며, 다만 무증상 감염자의 전파는 드물 수 있으며 주요 전염 경로가 아닐 수 있다고 알렸다. 또 우리 보건복지부도 2월 2일 코로나19는 무증상·경증 환자에서 감염증이 전파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며, 해당 증상들은 차도가 좋아지기도 하지만 일부에서 중증 폐렴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감기는 세균이 되었든 바이러스가 되었든 아니면 단순 염증에 의해서든 상기도의 염증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종의 증상들이기 때문에 염증을 호전시키면 낫게 됩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감기가 낫지 않는다고 이상하게 표현하는 것은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생물이 아니며 죽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컨디션이 좋아지면 잠들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 언제든 다시 활성화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바이러스 자체는 없지지지 않고 몸에 남아있게 됩니다.
결국 몸의 면역세포가 항체를 형성해서 감기 바이러스이 활동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 감기의 증상을 줄이는것이에요.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내부 바이러스나 외부바이러스에 저항하는 힘이 줄어들어서 감기에 걸리는것이기 때문에 면역력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감기는 낫습니다. 아마 치료를 할 수가 없느냐는 요지로 질문을 하신것이라면 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아주 다양하며 보통 경과가 양호하기 때문에 굳이 항바이러스제등을 섭취하거나 치료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지만 신종플루라 불렀던 독감의 경우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 치료제가 나왔고 그 약이 타미플루입니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도 감기 바이러스의 일종이지만 심각한 후유증 및 사망률을 보이고 있어 치료제 개발에 전념하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일반 세균을 치료하는 항생제 개발보다 더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감기는 신체 면역기전으로 저절로 낫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감기가 낫는다 라는 개념은 어떤 것을 나았다고 하느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감기로 인한 증상이 좋아지는 것을 나았다 라고 한다면 감기는 잘 낫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감기 바이러스가 몸 속에서 없어져야 낫는다 라고 하면 감기는 낫지 않는 질환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감기가 낫지 않는다는 것은 옳지 않는 표현입니다.
단순감기의 경우 바이러스성 질환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체내 면역반응에 의해 치유가 되며 대개 2주정도 걸리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기는 보통 코, 인후, 부비동,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감염 되면서 발생하는 호흡기질환입니다. 현재까지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약 200여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코감기, 목감기, 몸살 감기 등이 발생하는데 바이러스의 종류와 자극 받는 점막의 장소에 따라 그 증상이 다릅니다. 유행성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호흡기 질환으로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증상이 심하고 전염력이 강합니다. 감기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1-2주 정도면 회복이 됩니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증상을 치료하는 대증치료를 합니다. 바이러스 종류가 매우 많은 관계로 감기에 걸렸다 치료 되어도 다시 걸릴수 있습니다. 겨울철이나 환절기에 특히 감기가 많이 걸리는 이유는 공기가 건조하고 일교차가 심하면서 우리 몸이 외부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만큼 저항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릴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감기는 낫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낫는 질병입니다. 약을 드시는 것은 플라시보(위약)효과는 아닙니다. 감기에서 약을 먹는 것은 감기를 낫게 하기 보다는 저절로 좋아질 때까지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위해 먹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