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청렴한가오리296
청렴한가오리29619.04.16

리플과 같이 재단에서 발행한 코인의 경우 탈중앙화의 의미가 있는건가요?

리플과 같이 재단에서 발행하고 관리하는 코인의 경우 탈중화라기 보단 오히려 중앙화된 시스템을 추구하는거 같은데요 리플은 탈중앙화 프로젝트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리플문의 주셨는데요.

    리플과 같이 중앙에서 통제 관리하는 경우 탈중앙화가 아닙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대부분 리플과 비슷합니다.

    그래서 리플은 초기에 진정한 블록체인이 아니라는 비난을 많이 들었고, 코인이 아니라는 말도 많았죠.

    사토시의 정신에 어긋난다면서요~

    그렇지만 지금은 전세계 유수의 은행들과 리플의 기술을 사용 및 테스트 하면서 시총 2~3위권을 유지하는 메이저 재단이 되었고, 많은 홀더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암호화폐 가 되었습니다.

    리플과 같이 중앙화 되어 있을 경우 속도를 높이는 대신 해킹과 중앙 집중식 통제에 취약 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참고 자료 첨부합니다...

    • 2004년 라이언 푸거(Ryan Fugger)가 리플페이(RipplePay)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 은행간 실시간 자금 송금을 위한 서비스로 처음 개발했다. 리플페이는 국제 송금용 서비스로 개발되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 2012년 푸거(Fugger)가 물러나고, 크리스 라슨(Chris Larsen)과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이 주도하여 오픈코인(OpenCoin)이라는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비트코인의 영향을 받아 블록체인기반의 암호화폐 개념을 도입했다. 리플 트랜잭션프로토콜인 RTXP를 개발했다. 기존의 은행간 송금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수수료가 비쌌으나, 리플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송금이 가능하며 수수료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비트코인과 유사한 암호화폐인 리플(XRP, ripple)을 발행했다. 오픈코인 회사는 미국 최대의 벤처 투자사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와 구글 벤처(Google Venture)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 2013년 9월 26일 회사명을 오픈코인에서 리플랩스(Ripple Labs Inc.)로 변경했다. CEO는 크리스 라슨이 맡았다.

    • 2013년부터 Bank of America, HSBC 등 전 세계 수십 개 은행들이 은행간 결제에 리플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2016년 일본 최대 은행인 MUFG를 비롯한 약 80% 이상의 일본 은행들이 리플 사용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