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10

비행기 기내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비행기를 탈 때 왜 굳이 기내 기압을 낮춰서

사람을 고생시키는지 알고 싶습니다.

올라갈 때 기압을 낮추지 않으면 귀도 안 아플 텐데..ㅠㅠ

어쨋던 확.실.히. 알고 계신 분께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결론 부터 말씀 드리면 일부러 기압을 낮추는 것이 아닙니다.

    **항공기가 지상에서 이륙할 때 귀가 아프거나 멍멍 해지는 현상,'

    사람에 따라 증상이 좀 심한 사람은 눈이나 배가 아프고 멀미가 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인체/사람의 몸의 모든 기관은 지상의 1기압즉,1013밀리바(mb)/760밀리 에이치지(mm/Hg)에

    정상이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고공으로 올라 갈수록 공기의 밀도가 적어지고 기압은 낮아집니다.

    특히 이륙시에는 급 상승하므로 갑자기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귀가 먹먹해지는 등의

    현상이 일어 나는 것이지요.

    반대로 착륙할 때도 일시적으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는 반대로 공중에서 착륙을

    위해 고도를 낮추기 때문에 기압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것이지요.

    **물론 대부분의 고공비행을 하는 항공기에는 여압장치(Cabin Pressure Regulator)라는

    것이 장치되어 있어 항공기가 고도를 잡고 일정한 고도의 순항비행을 할때는 공기중의

    낮은 기압에 대한 감지장치가 작동하여 기내의 여압을 조절하여 인체에 맞게 해줍니다.

    그러나, 이륙,착륙,공중에서 난기류 등을 만나는 등의 급격한 기압 변화에는 여압장치의

    작동이 순간적으로 적정기압에 맞게 작동치 못하여 그러한 현상이 일어 나며, 항공기가

    안정 상태가 되면 정상작동을 하여 기압을 맞추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