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냉철한말
냉철한말22.11.30

조선시대는 왜 '유교'를 택하였나요?

조선시대하면 유교사상이 떠오릅니다. 유교사상은 현재까지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고려시대의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선택한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쉽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과거엔 새로운 국가를 만들때는 무엇인가 명분이 필요하였습니다.

    정치든 경제든 마찬 가지입니다.

    그래서 불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던것을 유교로 바꾸어 버린 것입니다.

    새로운 종교를 이용하여 정치적 도구로 삼았던 것입니다.


    유교는 공자가 만든것으로 유교가 나라를 다스리는 기준이 되었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을 건국한 주축세력은 신흥무인층과 신진사대부입니다. 신흥무인은 군사력을 신진사대부는 플랜과 설계를 담당했습니다.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수용한 유학자였습니다. 자연스럽게 조선을 유교의 나라, 성리학의 나라로 만든 것입니다.

    고려는 불교국가였습니다. 새나라를 만들 때는 새로운 시대적 사상이 필요했습니다. 그것이 유교였습니다. 또한 고려말 불교가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사회경제적 모순을 심화시키며, 세속적 부패도 보여 그러한 정당성을 제공했습니다. 불교 사원은 왕실이나 귀족의 후원 아래 대농장을 보유하고 막대한 노비를 소유했으며 스스로 대지주로서 소작농인 농민을 수탈하였습니다. 더구나 술을 비로해 상공업에 참여해 상업적 부도 축적했습니다. 이러한 폐단을 시정하고 혁파하고자 신진사대부들은 유교를 택하고 철저히 불교를 탄압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 정도전등의 사림세력 들은 고려시대의 불교의 적폐를적보면서 고려시대의 사상적 지주를 무너뜨릴 무엇인가가 필요했지요. 고려의 상징적 지주인 불교를 대체할만한 사상이 바로 유교 였습니다. 유교는 또한 성리학을 배운 그들이 신분제사회인 조선이란 나라의 건국이라는 정치적 야망을 실현할수있는 가장 좋은 배경이 되었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의 주축 세력인 신진사대부들은 중국에서 들여온 성리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이었습니다.

    이에 자연스럽게 그에 기반한 유학 사상을 들여왔습니다. 과거 불교가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 불교가 세속화되고, 나라의 재정을 위태롭게 할 만큼의 문제가 발생했었기에 그 명분으로 유학을 기본 통치 사상으로 하여 숭유억불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것이 종교화되어 유교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잘 아시는 고려말 신돈의 이야기로 당시 불교의 폐해를 알 수 있습니다. (역사에는 그렇게 기록하고 있죠)

    사실 공민왕의 신임으로 개혁사상가로 시작하여 권력의 최상위에 올랐던 승려 신돈과 실권을 잃어 반격을 노리던 권문세가의 싸움에서 최종적으로 권문세가가 승리하며, 신돈을 요망한 승려로 기록되게 하였지요. 신돈이 후반기로 가면서 순수한 개혁가의 정신이 퇴색되어 권력에 취했던 것은 사실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에 종교가 정치에 과도하게 개입해서는 안된다고 하여 불교 사원은 건축도 제한되고, 실생활에서 멀어져 산속으로 들어갔다는 설도 있습니다.

    결국에 유학 사상이 불교 사상을 밀어내고 조선시대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조선 건국의 주축 세력인 신진사대부들이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다시 불교가 융성하는 일이 없어야 함으로 미리부터 싹을 잘라내기 위해 숭유억불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을 숭상하던 정도전과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계속적인 논변과 비판을 통해 성리학을 발전시켰는데 그 결과 심성설과 같은 특수분야에서는 중국의 주희설보다 더 높은 경지에 이르렀고 성리학이 전해지면서 한민족의 문화적 자존심이 깨어났고 원나라의 배격과 함께 원나라가 숭상하던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택한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