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소풍2002
소풍200222.09.14

일반 병원 정형외과 내과 이빈후과등

전문의가 있는 병원이 있는가하면 그냥 의원이라는 병원에 의사한분이 여러가지 과목을 보는 곳도 있습니다 의원이랑 일반병원이랑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4

    안녕하세요. 올곧은오소리112입니다.

    전문의는 의사 면허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을 수련받은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 입니다. 전문의 자격을 인정받으면 병원 간판에 과목을 적을 수 있습니다.

    의원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30병상 미만의 시설을 갖추고 주로 외래환자에 대하여 의료를 행할 목적으로 개설하는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병원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30병상 이상, 100병상 미만의 시설을 갖추고 주로 입원환자에 대하여 의료를 행할 목적으로 개설하는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살가운누에241입니다.

    일반 의원은 해당 과에 대한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의료진이 해당과의 진료를 하고 있는 형태 입니다.

    보통 00의원 이라는 간판에 진료 과목으로 내과, 피부과 등 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전문의가 하는 의원의 경우 간판에 해당 진료 과목이 먼저 표시되어 있는 등 구별이 가능합니다.

    병원의 경우 병상 기준으로 의원과 구별하고 있으며 병원은 대부분 해당 과의 전문의가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영험한쇠오리73입니다.

    의원기준 입원병상이 30개 미만

    병원기준 입원병상이 30개 이상

    인경우 간판에 의원과 병원으로 나뉘어

    설치할수있습니다.

    진료과목 표기는 자유이며, 개원한 의사가

    본인이 자신있는 그리고 보조적으로 진료가

    가능한 진료과목 종류를 표기해놓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간판표기설치는 자유가 아니며 행정구역상 관할보건소에

    허가를 받고 설치하며, 표기오류 혹은 맞지않는 간판설치

    는 의료법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이 발생됩니다.

    그래서 표기는 보통 개원의사가 정확히 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거대곰돌이입니다.

    정확한 가설은 아닙니다만, 과거에는 수요에 비해서 전문의들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다 본인의 질병에 맞는 병원 진료를 받기 위해 비싼 대학병원을 항상 갈 수 없고,

    그래서 주치의 개념으로 '가정의원'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본인의 전문 분야가 아니지만 많은 분야를 진료받는

    그런 병원이 생겼었습니다. 지금은 척추병원 정형외과 내과 나눠도 충분히 의사가 공급이 되기 때문에

    그런 전문병원이 나뉘어질 수 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