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사일러스
사일러스22.12.25

'죄수의 딜레마'라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사전적으로는 다른 두 죄수를 다른 방에 집어넣고 심문한다는 의미인 것은 아는데, 이게 기업간의 담합을 저지하기 위한 전략이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에서 죄수의 딜레마가 사용되는 방법은 담합 행위를 하는 기업들을 적발하기 위한 조치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담합을 하는 기업들은 죄수로, 간수는 '공정거래위원회'로 하게 되는데, 공정거래위원회는 '리니언시'라고 하는 자진신고감면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담합에 참여한 기업이 스스로 자백하는 경우에는 다른 회사들에 비해서 과징금을 줄여주거나 혹은 면제까지 해두는 제도입니다. 만약 A라는 회사가 먼저 자백을 해버리면 다은 B,C회사는 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리니언시 제도는 경제의 죄수의 딜레마로 활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공범자가 서로 협력해 범죄사실을 침묵하면 증거 불충분으로 형량이 낮아지는 최선의 결과를 누릴 수 있음에도 상대방의 범죄사실을 밝히면 형량을 감해준다는 수사관의 유혹에 빠져 자백함으로써 무거운 형량을 선고받는 현상입니다. 사례로는 석유 수출국 기구(OPEC)와 같은 카르텔에서 협정이 잘 지켜 지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협정을 깨고 석유 생산을 더 하거나 가격을 내려 판매를 더 하는 것이 OPEC에 속한 회원국의 우월 전략이기 때문에 생산 협정이나 가격 협정이 종종 깨지곤 합니다. 한 회원국이 협정을 깨고 나면 다른 회원국도 협정을 깰 것이기 때문에 결국의 가격 폭락이라는 (판매자 입장에서)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