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굳센불독180
굳센불독18023.03.04

낮에도 달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낮에 다니다보면 달이 보이는 경우가 있더라구요~달은 밤에 어두울때만 보이는 줄만 알았는데

날이 밝은데도 보일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낮에도 보이는 이유는 하늘의 광도보다 달의 광도가 크기때문입니다. 하지만 태양의 광도가 한 낮에는 높기에

    달중에 강한 빛만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여 흐릿하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도 달이 보이는 이유는 지구와 달 사이에 있는 태양의 빛이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달까지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태양의 빛이 지구 주변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달은 지구 주변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한 태양광이 달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보름달이 되는 날에 가장 잘 관찰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5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는 낮에도 달은 존재하지만, 빛의 강도가 너무나도 밝아서 우리 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가끔 특정 조건에서는 낮에도 달이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고, 지평선에서 약간 높은 곳에 있을 때, 또는 일식이 일어날 때 등이 그러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부 지역에서 낮에도 달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달은 밤에 볼 수 있는 천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나타나는 시간과 태양 광선의 기울기의 차이 덕분에 낮에도 볼 수 있습니다.

    즉, 달에 태양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인데요, 태양의 입사각 등의 원인으로 달에 반사된 태양 빛이 지구로 바로 들어오는 태양빛 보다 좀 더 강해서 달이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지구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이 약 12시간 정도 됩니다. 그런데 낮에는 떠 있어도 태양빛이 밝아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인데 태양빛이 흐릴 때는 달을 볼 수가 있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낮에도 보이는 이유는 바로 태양광의 반사 때문입니다.

    달은 지구와 같은 태양계 행성들처럼 태양에서 받은 빛을 반사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지구로 도달하면, 지구 상의 다른 물체들처럼 빛을 반사하게 됩니다. 이렇게 반사되는 빛 중에서, 달이 반사한 빛 중 일부가 지구 대기를 통과하여 지표면까지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낮에는 태양의 빛이 지구를 직접 비추기 때문에 달이 보이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지구 대기에 있는 먼지나 물방울 등이 태양의 빛을 산란시켜서 주변을 밝게 만들어 주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밝은 대기가 달이 반사한 빛을 지구로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낮에도 달이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만월의 경우에는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의 양쪽에 있어서 지구와 달 사이에 있는 대기층을 통과하는 빛 중 일부가 지구로 도달하게 되어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달이 낮에도 보이는 이유는 하늘의 광도보다 달의 광도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태양 가까운 하늘의 광도는 달의 광도보다 높기 때문에 여기에 달이 있다면 태양빛을 차단하지 않는 한 보이지 않겠지요. 그 반사되는 면이 달라서 주기에 맞춰 반달이 되기도 하고 초승달이 되기도 하는 겁니다. 초승달이라면 거진 우리나라에서 봤을 때 끝자락에 위치하기 때문에 살짝 윤곽만 보이는 거겠죠. 이런 달의 변화되는 모습을 보고 달의 위상 변화라고 해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 달이 하얗게 보이는 경우를 종종 볼수있는데요

    저도 이 부분이 항상 궁금했습니다.


    찾아보니 그 차이는 바로 광도의 차이였습니다.

    광도란 밝은 정도 인데요??


    하지만 태양가까이 있는 경우는 태양의 빛이 더 강하기때문에 달이 보이지않습니다.


    낮에 뜬 달의 색깔이 하얀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주요 이유는 낮에는 태양빛의 푸른색이 산란되어 푸른색으로 빛나는 색유리와 같은 공기층을 뚫고 달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밤에도 밝은 파란색 색유리를 대고 달을 보면 노란색 달은 구경하기 힘들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도 달이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에 비해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약 38만 4천 km 정도이며, 이 거리는 지구의 대기권 내의 빛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항상 어느 정도 크기와 밝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낮에도 달은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달이 지구에 비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일몰 후에도 달이 지평선 위에 오르게 되면서, 낮에도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낮과 밤 할것없이 지구상에서 같은 모습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보통 밤에는 햇빛이 없기때문에 달의 광도가 하늘의 광도보다 커서 잘보이지만, 낮에는 충분한 하늘의 광도 때문에 달을 볼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낮에도 달이 보일때가 있는데, 이는 하늘의 광도가 달의 광도보다 낮은경우 낮에도 달이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