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17

얼음이 녹을때 쉽게 미끌어지는 이유

얼음이 얼면 매우 미끄러운걸 볼수 있는덕

얼음이 녹을때 그냥 얼어 있을때보다 더많이 미끄러운걸 볼수 있는데요 단순히 물때문에 더 미끄러운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녹으며 그 표면에 물이 생기게되는데요

    생성된 물 층으로 인하여 마찰력이 감소하게되고 이에따라서 녹은 얼음이 더 미끄럽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낮아지게 되어 더 미끄러워지는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이유는 물층 생성 이론 입니다.

    얼음 표면에는 아주 미세하게 물이 있고, 얼음 위에 올라가면 압력에 의해 물이 더 많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얼음 바로 위에 물로 인해 훨씬 더 미끄러워 지게 되어 마찰력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 중 하나는 얼음 위에 물체가 올라가면 그 압력에 의해 얼음이 녹아 얇은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온도가 올라가면 더 많은 수막이 형성되므로 좀 더 미끄러워 지는 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녹으면서 얼음 표면에 수막 처럼 막이 생길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마찰이 감소하여 더 미끄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