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금리인하를 어떻게 해야 경기침체로 안보이는 상황일까요?!

많은 금리 인하도 경기침체로 인식 될수도 있고, 금리인하를 안해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하다고 보고, 어떻게 해야 경기 침체와 그 중간에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금리 인하 없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어려움도 동시에 존재합니다

    보통 임금 상승률을 조절하거나 상품 공급을 늘려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당장 물가가 오르는데로 임금도 올리는 부분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비정규직)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2%대 기준금리로 들어가야 일반적인 상황인데 26년도에도 여전히 3%대 후반 기준금리가

      예상되면서 시장에서는 실망한 매물이 나왔습니다

    • 현재 경기가 좋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를 멈춘 것은 맞지만 다시 한 번 물가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고 트럼프는 강달러 압박을 주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금은 어느정도의 금리인하와 정부 재정지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수개월째 내수경기가 안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이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더 낮기때문에 금리인하보다는 재정지출을 늘려야 합니다 .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를 어떻게 해야지 경기 침체로 안보이는 상황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을 통해서 경기 침체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2025년에는 천천히 하겠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