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리인하를 어떻게 해야 경기침체로 안보이는 상황일까요?!
많은 금리 인하도 경기침체로 인식 될수도 있고, 금리인하를 안해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하다고 보고, 어떻게 해야 경기 침체와 그 중간에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금리 인하 없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어려움도 동시에 존재합니다
보통 임금 상승률을 조절하거나 상품 공급을 늘려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당장 물가가 오르는데로 임금도 올리는 부분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비정규직)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2%대 기준금리로 들어가야 일반적인 상황인데 26년도에도 여전히 3%대 후반 기준금리가
예상되면서 시장에서는 실망한 매물이 나왔습니다
현재 경기가 좋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를 멈춘 것은 맞지만 다시 한 번 물가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고 트럼프는 강달러 압박을 주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지금은 어느정도의 금리인하와 정부 재정지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수개월째 내수경기가 안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이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더 낮기때문에 금리인하보다는 재정지출을 늘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를 어떻게 해야지 경기 침체로 안보이는 상황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을 통해서 경기 침체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2025년에는 천천히 하겠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