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황금발구지
황금발구지21.03.15

음식을 빨리 먹고 삼키면 영양분 흡수가 적게 되나요?

우리 아이는 체구는 마른편인데, 음식을 빨리 먹고 많이 먹는 편입니다. 함께 식사를 할때면 많이 먹으면서도 빨리 먹습니다. 먹는 양에 비해서 살이 너무 안찌고,소화도 빨리 되어 금방 배가 고파진다고 합니다. 빨리 먹는 습관이 양분 흡수를 방해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먹는 속도와 영양분 흡수는 큰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먹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음식을 잘게 씹지 않고 넘긴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위장관에 무리가 가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화 후 흡수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대부분 음식물은 소장 융털에서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천천히 먹으라는 이유가 천천히 씹고 넘겨야지만 위에 부담이 덜 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성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을 빨리 먹고 삼키면 영양분 흡수가 적게 되는 지 여쭤보셨는데요.

    영양분은 크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성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의 소화는 물리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 입안에서 이뤄지는 물리적 소화가 대단히 중요하지요. 음식을 씹는 행위로 음식물이 입안에서, 위에서, 소장에서의 소화효소와 만나는 면적을 증가시켜줌으로써 각 소화기관에서의 화학적 소화를 돕게 됩니다.

    탄수화물의 경우 입안에서 침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하며 그 작용이 위에 도달하면 위산에 의해 멈춰지며 그대로 십이지장으로 이동하여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작용을 거쳐 몸에 흡수 됩니다.

    단백질은 위액에 의해서 분해되기 시작하고, 마찬가지로 십이지장으로 이동하여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작용을 거쳐 몸에 흡수 됩니다.

    지방의 소화는 침의 리파아제 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하여 위에서 분해가 진행되며, 십이지장으로 이동하여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에 의해 추가로 분해되고 몸에 흡수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소화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저작운동 즉 음식을 잘 씹어 삼키는 행위는 대단히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음식은 꼭꼭 씹고 삼켜야 소화가 잘되고 영양분 흡수도 잘됩니다.

    밥과 고기를 먹는다고 바로 우리 몸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죠. 결국 포도당과 아미노산 으로 분해되어야만 혈액속으로 흡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충분히 씹어야라는 것은 구강내 침샘(아밀라아제)를 자극하고 음식을 잘게 민들어서 소화가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식도를 타고 위로 내려가 위산으로 분해될 때도 위가 더 적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소화를 시킬 수가 있습니다.

    바쁜 현대인분들은 허겁지겁 식사를 하다보니 소화불량, 복통 등의 호소가 잦지요.

    적절한 양의 식사와 충분히 소화시키는 습관을 생활화 하시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을 빨리 먹고 삼키는건 입에서 음식물을 덜 씹는 것 뿐이고 오히려 많은 양을 먹기 때문에 음식물을 더 많이 먹게 됩니다.

    평소에 음식을 먹을때 천천히 꼭꼭씹어먹으라는 것은 적당히 먹어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고 , 폭식을 피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아이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아이가 얼마나 먹는지 정보가 없어서 판단하기 힘들지만

    단순히 살이 찌지 않는 체질이거나, 간혹 아이가 많이먹는다고 주관적으로 판단하시는 부모님들도 계십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아이가 먹는 식단과 양을 식단일기로 기록해주시고, 의사와 상담해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치과의사전문의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먹는 습관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빠르게 식사를 할 경우 꼭꼭 씹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게되고 그로인해 음식물 덩어리가 큰 상태로 소화관에 들어가기때문에 영양분이 체내에서 충분히 분해되고 흡수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습관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으로 인해 소화능력 및 영양분 흡수 능력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구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빨리 먹는 습관이 양분흡수를 방해하는것은 있을수 있는 일입니다. 소화기 능력이 완전한 사람이면 아무래도 입에서 음식을 덜 씹어서 삼키더라도 위장에서 소화를 더 시키기는 하겠습니다 마는 그래도 한도는 있는 편이지요. 게다가 빨리 먹으면 위장에서 포만감을 느끼는데 걸리는 시간이 있으므로 아무래도 많이 먹게 됩니다. 천천히 먹는 습관을 들이는것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재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을 섭취하는 속도와 칼로리 흡수량은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어차피 영양분 흡수는 소장과 대장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호르몬 이상이 있는지 내분비내과에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