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23.01.19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는 이유 ??

지구뿐 아니라 태양 근처의 커다란 행성은 모두 공전을 하는데요.

왜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는 건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9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나 다른 행성들이 태양을 주위로 공전하는 이유는

    행성과 태양간의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인력때문에 공전현상이 발생하는것이라고 합니다

  • 태양은 사실 은하에서 보면 하나의 항성에 불과합니다.

    또한 태양은 은하의 중심에 있지 않습니다.

    태양은 은하의 중심에서 약 26,000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습니다.

    (우리 은하의 크기는 약 10만 광년으로 보고 있으며 반지름은 5만 광년입니다.)

    이 거리에서 은하를 중심으로 도는 공전을 합니다.

    물론 공전주기는 굉장히 깁니다.

    태양이 은하를 한바퀴 도는데는 약 2억년의 시간이 걸립니다.

    태양이 탄생한지 약 50억년이 되었으니 지금까지 25번 공전을 하였습니다.


    2억년의 속도로 1바퀴 도는 것이니 엄청 느릴 것 같지만

    사실 엄청나게 빠르게 돌고 있습니다.

    태양의 공전속도는 초속 217km 정도 입니다.

    이 속도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2초면 갈 수 있는 거리이며

    지구에서 달까지 한 시간이면 왕복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자전속도는 초속 0.5km 이며

    지구의 공전속도는 초속 32.5km 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속도보다도

    태양이 은하를 중심으로 도는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시속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구 자전속도 : 1,666 km/h

    지구 공전속도 : 116,780 km/h

    은하 공전속도 : 781,200 km/h


    하지만 태양만 저 속도로 은하를 도는 것이 아니라

    태양에 잡혀 있는 천체들 수성, 금성, 지구 등의 행성들도

    현재 태양과 같이 저 속도로 은하를 2억년의 속도로 돌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전은 태양의 인력과 이를 벗어나려는 다른 행성들의 원심력이 균형을 이뤄서 일어나는 현상인데요. 태양을 중심으로 모든 행성이 공전하는 이유는 태양의 질량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만약 태양보다 질량이 큰 행성이 있다면 그 행성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을 겁니다.

  • 태양의 질량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다른 행성에 비해 질량이 가장 크기 때문에 태양이 쉽게 중심이 될 수 있었고,

    만유인력으로 인해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