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1.26

4세~6세 때 교육적으로 중요한 시기라고 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아이들은 어릴수록 뇌는 스폰지처럼 모든 걸 흡수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영어도 조기교육이라고 해서 유치원

들어가기 전에 공부시키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 시기를 놓치면 공부가 효과가 없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4~6세경에는 아이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뇌가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이며

    아이의 정서와 인지 발달을 키우는 결정적 시기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6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뇌 성장 형성기 중 가장 중요한 성장기인 태어나서부터 3세까지의 시기는 뇌의 앞쪽 전두엽과 윗쪽 두정엽, 뒤쪽 후두엽 등 기본 골격이 형성됩니다.

    이 시기에는 신경 세포끼리 긴밀하게 연결 회로가 만들어지고, 두뇌가 좋고 나쁨을 결정 짓게 되는 아주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고도의 정신 활동을 담당하는 두뇌가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만 편중되는 학습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 기관 중 전두엽이 발달되는 3세에서 6세 시기입니다.

    이 때는 종합적인 사고와 인간성, 도덕성 등이 집중 발달되는 시기입니다.

    기본적으로 아이들의 정서는 3세가 되면 모두 성숙해 지기 때문에

    이 시기를 이용하여 올바른 예절 교육과 인성 교육을 하여 인간성이 좋은 사람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의 심리에 부담을 느낄 만한 무리한 학습보다는 과정 속에서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 아이가 부모와 많은 대화를 나누거나 박물관, 동물원, 식물원 등의 넓은 세상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상황을 접하여 인성적인 발달을 유도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 같은 활동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며,

    타인과 내가 함께 공존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0~3세까지는 감정선이 발달하는 시기로 부모님과의 유대관계를 잘 다져야 하며 그 이후는 두뇌가 발달하는 시기로 교육을 잘 시켜주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뇌 발달의 터닝포인트는 크게 3세 7세 10세로 구분된다고 하는데요

    0~3세 구간에는 뇌신경게포가 계속 증가하다 3~4세때 최고치에 달한 뒤 이후 7세까지 약간 감소하는 양상을 타나냅니다. 애써 늘어났던 신경세포가 다시 죽는 셈인데 이는 뇌 정보전달회로 생성 과정에서 방해가 되는 세포가 없어지는 데 따른 것으로 이 과정이 끝나야 뇌신경세포 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7~10세 이후 정보전달회로가 발달해 어른의 뇌가 된다고 합니다.

    0~3세때는 오감놀이를 통해 두뇌를 총체적으로 자극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만3~6세때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지식과 다양한 답이 있는 지식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6~12세때는 보녁ㄱ적으로 국어 학습을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쌓은 경험과 실력은 평생의 국어실력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교육도 이 시기에 시작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른 시기에 아이들에 대한 교육은 두뇌자극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이시기를 놓쳤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교육에 있어 중요한 것은 시기보다는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주시는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스펀지처럼 모든 것을 잘 흡수 합니다.

    하지만 조기교육을 이른 시기에 시작한다면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학습은 부모의 욕심대로 시켜서는 안됩니다.

    첫째, 아이가 학습에 대한 흥미과 관심을 보여야 합니다.

    둘째, 아이가 원할 때 학습을 시켜주어야 합니다.

    셋째, 영어 교육은 우리 모국어를 완벽히 습득하고 한글을 다 깨우친 후에 6~7세 정도 시기에 시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넷째, 학원의 선택과 결정은 부모가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하는 것입니다. 아이와 선택하고 결정을 하도록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별히 교육적으로 중요한 시기보다는

    이시기에 아이들이 습득하고 인지적으로 발달하는게 많다보니 그런 이야기가 나온듯합니다

    오히려 이시기에 부정적인 교육이 들어오게 된다면 공부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커질수있는 길이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가지나면효과가없다기보다는 힘들어할수있다는것입니다

    이시기에 아이는 기억의회로가전의식으로저장되어

    아이가 큰후에 공부시

    전의식이 의식화되어익숙함이나 즐거운기억에공부할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를 놓쳐도 아이의 노력에 의해서 충분히 공부의 효과는 있지요.

    특히 영어 같은 경우엔 발음이 중요하니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영어를 시작하면 영어 학습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아기 때 글의 내용대로, 스폰지처럼 모든 걸 흡수하는 시기라서, 조기교육의 효과도 이 때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어릴 때 그래서 외국어를 시키는 것도 이 때문이지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이 시절에 많은 것을 배우고

    습득해서 그런 것이에요

    이후에도 학습효과는 없다고 볼 수는 없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 시기에 아이가 언어적으로 무언가 많이 배우고

    습득력도 빠른 시기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