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는 왜 to부정사인가요?
진짜 계속 궁금했는데 이제야 질문합니다. To부정사는 왜 to부정사인가요? 부정하는 게 아닌데 어쩌다가 부정사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TO부정사의 부정사의 의미는 부정의 의미가 아니라 아닐 부 , 정할 정, 품사 사 의 의미로 정해 지지 않은 품사 라는 의미로 쓰이는 것 입니다. 즉 TO+ 정해 지지 않은 동사의 원형 이 TO 부정사가 되는 것 입니다. 동사는 정해진 의미의 동사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 - WENT -GONE , COME-CAME- COME 와 같이 정해진 동사들은 정형 동사라고 합니다. 하지만 TO 부정사는 그 어떤 동사던 동사 원형에 TO 를 붙이기에 TO 부정사가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네, 원형.. 즉 활용이 되어 모양이 변형되지 않은 infinitive의 형태를 이야기합니다. 이 원형은 여러가지로 변화를 많이하게 되므로 그 변화가 되지 않은 부정- not yet fixed - 원초적 형태의 동사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o do : doing/ done/ 등으로 변호가 to be : (가장 변화가 심합니다 - is / are /am 등등)
: 특히 유럽어에서는 보통 주어에 따라 6변화를 하고 (1/2/3단수 - 1/2/3복수) 원형보다는 이러한 활용을 잘 익혀야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부정은 부인하다.아니다의 뜻이 아니라 정해지지 않은의 뜻입니다. 즉 정해지지 않은 품사라는 뜻이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to부정사의 부정은 不正이 아니라 不定입니다
'아니요' 가 아니라 '형태가 정해지지 않음'이라는 뜻이죠
시제나 수, 법 등에 따라 형태가 정해지지 않는 동사 라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to부정사에서 부정은 '아니다'라는 뜻의 부정(不正)이 아니라, '정해지지 않다'의 부정(不定)입니다. 사(詞)는 품사를 말합니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은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to부정사는 'to+동사원형'의 형태로 문장내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는데,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해져 있지 않고 문장마다 다르므로 부정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는 영어의 to-infinitive를 번역한 말입니다.
to부정사는 하나의 동사 형태로 앞에 to만 붙여, 문장에서 여러 품사의 기능을 하므로 언어적으로 아주 경제적인 도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