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달달한 너구리
달달한 너구리22.09.08

가로등 색이 주황색인 이유가 뭘까요

밤에 길을 밝혀주는 가로등들은 왜 하얀빛이 아니라 주황색계열의 빛을 사용하나요?

밝은색으로 하면 그냥 흰색으로 하는것이 더 밝을것같은데 주황색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그리운꽃새287입니다.


    가로등이 노란색인 첫 번째 이유는 다른 색보다 불빛이 더 멀리 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분류해보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등 일곱가지 색으로 나눌 수 있다.


    무지개색으로 유명한 일곱가지 색을 나누는 것은 색마다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빨간색이 가장 긴 파장을 가졌고 보라색이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진 것이다.


    파장이 길면 빛이 멀리까지 퍼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어둠을 밝히는 가로등은 파장이 긴 노란색 불빛을 사용하는 것이다.


    파장이 더 긴 빨간색이나 주황색은 눈에 피로를 주기 때문에 정육점처럼 고기의 빛깔을 살리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노란색 등을 쓰는 또 다른 이유는 전력 효율성 때문이다. 노란색을 내는 가로등은 나트륨 가스를 주로 사용하는 '나트륨 등'이다. 나트륨 등은 백열전구보다 밝기가 수 배 이상 높다. 또 일반 백열등보다 눈부심이 적고 여름철 모여드는 곤충 수도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