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Defi)와 파이(Fi)의 차이점이 뭔가요?
디파이와 파이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파이란 기존의 금융시스템을 말하는 것 같고
디파이란 기존의 금융시스템과 반대의 개념 같은데요.
좀더 체계적이고 자세한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디파이 & 파이
씨파이(Cefi) 는 Crypto Finance 의 약자로 디파이와 비슷한 듯 하지만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디파이가 탈중앙화 개념에 집중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금융 서비스인 것과 달리 씨파이는 암호화폐로 하는 모든 금융 서비스를 통칭하는 단어 입니다. 그런 면에서 디파이도 씨파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컴파운드나 카이버 등은 디파이 이지만 씨파이 라고도 부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낸스나 크립토닷컴 같은 거래소들이 운영하고 있는 암호화폐 스테이킹 기반 이자 지급 시스템(Earn) 이나 대출(Lending) 서비스 등은 암호화폐를 이용하기에 씨파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엄연히 중앙화 된 거래소가 컨트롤 하기에 디파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 이슈가 되는 디파이(Def)는 단순한 스테이킹(적금방식)보다는 예금, 결제, 보험, 투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금융시스템을 기존이 전통금융에서의 정부나 은행에 의한 관리감독없이 즉 탈중앙화하여 이루어지는 금융 생태계를 목표로 합니다.이러한 디파이 분야도 담보대출분야, 파생상품 분야 및 이러한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오라클 분야 등 다양하게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는 이제 시작되는 분야로 대표적으로는 체인링크, 메이커 다오, 카바, 컴파운드, 밴드, 카이버 등이 있습니다.
디파이 금융 시스템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은행, 신용카드도 필요없고 여타 감독기관도 없이 금융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최근이 이자농사라고 불리우는 디파이이며, 자산 토큰화 방식,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및 탈중앙화 거래소가 이에 해당됩니다.
최근 암호화폐에서 디파이가 이슈가 되는 이유는 올해 4월까지 11억달러에 불과하는 디파이 총액이 8월 현재 120억달러로 단기간 10배 이상 성장했고 이러한 추세라면 2023년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현금없는 사회를 이루려면 목표에 디파이 시스템이 저축, 연금 등의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여 핸드폼 하나만만으로 지갑, 현금, 교툥카드, 신용카드 및 신분증을 대체해 가고 있는 설정입니다.
디파이의 제원은 전통금융 유사하게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여 조금 높은 이자를 주고 빌려쓰고 디파이에 저금하면 대출이자 보다 낮은 이자를 지급하는 예대마진에 의해 시스템은 운영됩니
안녕하세요.
이미 정확하게 파악하시고 계신것 같습니다.
fi는 financial로 기존의 은행과 같은 금융 시스템을 의미하고,
DeFi는 decentalized된 FI를 의미합니다.
둘간의 가장 큰 차이는 대출이나 은행업무를 위한 중간자가(미들맵)이 필요한지 혹은 이를 대체해서 스마트컨트랙으로 가능한지의 차이 입니다.
안녕하세요 디파이와 파이는 차이가 없구요 디파이와 차이가 있는것은 씨파이입니다.
CeFi를 흔히 말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금융시스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적금이나 대출을 받을때 우리는 주로 은행창구로 가거나 혹은 비대면으로 자신의 신원과 신용보증을 허가받고 해당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DeFi는 우리의 신용도를 체크하지도 않고 따로 보증에 대한 은행같은 별도의 중개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굉장히 간결하게 기존의 금융시스템에 준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광받는 것입니다만....
과연 보증을 하지 않는데 대출같은 여신시스템의 경우 제대로 상환되지 않는 것에 대한 안전장치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을 겁니다.
또한 예적금에 해당하는 스테이킹 시스템에 대해서도 무절제한 인플레이션으로 이뤄질 수 있음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것이구요 사실상 현재의 분위기는 '폰지사기' 에 가까운 형태라고 밖에는 보이지 않는게 제 개인적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