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의존도가 너무 높으면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는게 뭔소린가요?
사회 수행으로 발표를 해야해서 제가 해석할줄 알아야하거든요..이게 제가 쓴 대본중 한 줄인데여 "무역의존도가 너무 높지않도록 소비와 투자등의 확대를 통하여 우리나라 경제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늘려야합니다" 이뜻을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내수가 무엇인지 무슨말인지 이해를 못해서...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란 국내에서 이뤄지는 소비와 투자를 말합니다. 즉, 국민들이 국내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기업들이 국내에 설비투자를 하는 등의 활동을 의미합니다.
무역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것은 수출입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뜻입니다. 경제성장이 수출에 많이 달려있다는 말이죠.
그렇게 되면 내수시장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아집니다. 국민들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로 이뤄지는 내수경제의 기여도가 낮아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말은 국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해 경제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역할을 키워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수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를 내수로 균형있게 성장시키자는 취지입니다.
간단히 말해 국내 경제 활력을 높여 경제성장의 발걸음을 해외 수출에만 의지하지 않고 내수기반으로도 발전시키자는 뜻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우에는 무역을 통한 경제성장 비중이 높기 때문에 내수시장에 유통되는 상품의 비중이 적어서 내수경제의 비중이 낮다는 것을 의미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는 우리나라 내부에서의 소비 등 국내시장에서의 수요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크기에 이를 줄이고 내수를 키워서 세계 경제가
좋지 않더라도 영향을 줄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역은 해외국가와 상품을 수출입하는 것이고 반대로 내수는 말 그대로 국내시장을 말합니다. 기업이 상품을 해외로 수출하면 무역, 국내에서 내국인에게 상품을 팔면 내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