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디피에서 수출부분보다 내수부분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데 맞나요?
뉴스를 보면 수출이 안되서 지디피가 낮다 경제성장률이 낮은건 수출문제 때문이다 이렇게 많은 들은거 같은데요.
근데 유튜브에서 보니 지디피에서 수출보다는 내수부분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해서 내부에 힘써야하는데 수출을 가지고 정부가 계속 이야기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지디피에서 10%정도가 수출부분이고 90%는 내수부분인데 왜 그런지 모르겠다고하던데요. 지디피에 내부부분이 수출부분보다 중요한게 맞나요? 저도 지디피 이야기할때 수출이야기를 더 많이 들은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이끈는 것은 70%가 외수경제 즉 수출을 통한 성장인데, 수출을 하기 위해서 내수에서 생산되는 것을 국내 GDP로 잡다 보니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보니 해당 유튜버의 말은 오류가 있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명목 GDP
현재 가격으로 산출한 GDP로, 물가 변동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입니다.실질 GDP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조정한 GDP로, 경제 활동의 실질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따질 때는 명목 GDP를 사용합니다.
한국은 개발 초기부터 수출 주도형 경제성장을 추진해왔으며, 2022년 기준 GDP 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1% 선으로 나타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GDP에서 내수와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약 54.8%와 45.2%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gdp 에서 내수 비중이
수출비중보다 약간 큽니다만 오차범위 포함 5% 이내로
내수비중이 90%는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우리나라의 경우 gdp에서 내수 랑 수출비중이 55 대 45 정도로 내수가 높긴하더라구여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는 한 국가 내의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합친 금액입니다. 정의 상 내수 경제가 큰 국가의 GDP가 당연히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가가치의 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시면 이해가 편합니다. 수출 재화의 경우 완제품까지 부가가치가 증가하고 수출품에 대한 부가가치는 수출가와 수입가의 차이 정도이고 대부분의 부가가치는 완제품이 만들어지기까지 들어간 원재료와 노동비 등이 훨씬 더 큽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 1분기 기준으로 명목 GDP는 547조2000억원입니다.
여기에서 소비 부분이 차지하는 액수는 269조9000억원으로, 전체 비중에서 49.3%를 차지하였습니다.
이처럼 소비 비중이 수출 비중을 근소하게 앞서기는 하였으나, 소비 부문과 수출 부문 모두 우리나라 GDP 산정에 있어 중요 요소입니다.
수출 부분이 중요하다고 하는 이유는 내수 부분은 급격히 성장하기는 힘드나 수출을 통해 GDP를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GDP를 구성하는 요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2022년 4분기에서부터 소비 (내수) 가 차지하는 비율이 49.2%로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46.1% 보다 더 높아진 것이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