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곰살맞은나방210
곰살맞은나방210

빚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사회에서 자본주의 경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거시경제를 이야기하고, 물가는 계속 오으고, 열심히 살아가는데 왜 이렇게 힘들까요? 경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좀 더 행복할까요? 경제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빛도 일종의 레버리지 투자가 될수 있습니다. 가진 자산으로만 살순 없으니까요

      과도한 빛은 문제가 되지만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빚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사회라기 보다는 정부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서 화폐가 너무 빠르게 유통되었고 이로 인해서 집을 구입한다거나 다른 자산을 증식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빚을 내야만 하는 사회가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다시 금리를 인상하면서 화폐의 유동성을 막고있는 만큼 빚을 내는 것은 현재 현명한 길이 아니며 최대한 현금을 많이 쥐고 있고 부채 없이 생활을 하면서 기다리는 것이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행복을 경제로 이해하려하는 것이 모순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행복할수없고 항상 불행할 수는 없습니다.

      생각과 마음가짐의 차이이며 욕심의 차이라고 생각될 뿐 경제를 이해한다고 해서 해결 될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의 특성상

      나의 능력이 나의 수입과 직결되기에

      아무래도 생존하기 위하여는 나의 능력을

      키워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