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읍참마속'은 제갈량이 평소 아끼던 부하 마속이 명을 어기고 패배한 것을 두고 울며 참형을 처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즉 규율을 지키기 위해 아끼는 사람이라 할지언정 엄격하게 처분한다는 의미입니다. 읍차마속은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법과 원칙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운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제1차 북벌 때 마속이 제갈량의 지시를 어기고 자기의 얕은 생각으로 전투를 벌이다 참패를 하게 됩니다. 마속은 뛰어난 장수요 제갈량과 문경지교를 맺은 마량의 아우였지만 한중으로 돌아와 마속의 목을 벤 뒤 장졸들에게 사과하였습니다. 장관이 제갈량을 보고 앞으로 천하를 도모하는데 마속같은 유능한 인재를 없애는 것은 아까운 일이라고 하자 제갈량은 눈물을 흘리며 손무가 싸워 항상 이길 수 있었던 것은 군율을 분명하게 했기 때문이다. 이같이 어지러운 세상에 전쟁을 시작한 처음부터 규율을 무시하게 되면 어떻게 천하를 평정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읍참마속(泣斬馬謖 ‘울며 마속을 베다’) 또는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은 중국 삼국시대에 촉의 제갈량이 평소 중용했던 부하인 마속이 명을 어기고 이에 대패(大敗)한 것을 두고 울며 참형에 처했다는 (또는 울며 참형을 명했다는) 마속전(馬謖傳)의 고사(故事)로부터 유래한 성어로, 규율을 지키기 위해 설령 아끼는 이라 할지라도 위반자는 엄격하게 처분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게 된 성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