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5.18

범죄 현장에서 지문을 찾을 때 쓰는 화학물질은 어떤 것을 쓰나요?

뉴스나 영화에서 보면 범죄 현장에서 경찰의 과학수사팀에서 나와 붓으로 색칠한 다음 범인이 남기고 간 지문을 검출을 하는데 형광 물질을 비추어 범인의 지문을 찾아 내는 것을 보았는데 어떤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지문을 채취하는 과학수사에 화학이 이용됩니다.

    지문은 사람마다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손가락 끝 무늬입니다.

    이 지문은 범죄자를 찾는 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데요...그런데 현장에 남겨진 지문은 보이지 않아서 특수한 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형광 물질을 뿌린 후 자외선으로 비추는 방법, 자석봉과 자석 가루를 사용하는 방법, 아미노산 성분에 반응하는 닌히드린 용액에

    적신 종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혈액(혈흔)과 관련된 과학수사에도 화학이 이용됩니다.

    먼저 현장에서 루미놀이라는 시약을 이용해 형광빛을 내는 반응으로 혈흔을 찾습니다. 항원과 항체가 만나면 뿌연 응고물이 생기는

    원리로 동물의 혈액인지 사람의 혈액인지 구분합니다.

    혈액은 다른 혈액형의 혈액이 들어오면 응집 반응을 일으킵니다.(O형이 줬을 때 제외) 이로 혈액형을 밝혀 수사에 이용합니다.

    DNA와 관련된 과학수사도 화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DNA는 이중나선 구조이며, 바깥쪽은 당과 인산, 안쪽은 아데닌 - 티민, 구아닌 - 사이토닌의 결합이며 이의 배열 방식에 따라

    사람의 성격 등이 달라집니다.

    현장의 DNA를 분리기를 이용해 채취하면 용의자의 DNA와 비교하여 유죄인지 무죄인지 알 수 있는거죠..

    이정도 범죄수사 기술이 발전되어 있으니 완전범죄는 없겠죠?^^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를 잡거나 닿았을 때 손가락 끝부분에 묻어있던 기름 성분이 지문 모양으로 찍히는 원리입니다. 분말법에는 주로 입자가 고운 알루미늄 가루나 흑연가루, 숯가루 등이 이용됩니다. 가루의 종류는 입자가 고운거면 상관없고 중요한건 지문이 망가지지 않게 붓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문은 범죄자를 찾는 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런데 현장에 남겨진 지문은 보이지 않아서 특수한 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형광 물질을 뿌린 후 자외선으로 비추는 방법, 자석봉과 자석 가루를 사용하는 방법, 아미노산 성분에 반응하는 닌히드린 용액에 적신 종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손가락 끝의 분비물 중 아미노산, 염분 등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닌히드린 용액법과 질산은 용액법이 있읍니다.그중 닌히드린법은 아미노기를 가지는 유기물(단백질, 펩타이드, 아미노산 등) 검출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이류에서 지문을 검출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합니다.닌히드린은 아미노산의 –NH2기(아미노기)와 반응하면 루히만 퍼플이라 불리는 보라색 물질로 변하는데 이를 이용해 지문을 검출합니다.

    종이에 남은 지문에는 아미노산이 아닌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닌히드린을 뿌리면 루히만 퍼플이 나타나지 않으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면 단백질이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닌히드린과 반응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범죄현장에서 지문을 채취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고체법, 액체법, 기체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은 고체법과 액체법이 좀 혼합되어 있는 듯 합니다.

    우선 액체법의 경우, 검체를 어떤 용액에 담구어 분비물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지문을 검출하는 잠재 지문 채취법입니다. 주로 증거물이 종이류와 같이 물체가 다공질일 경우에는 닌히드린 같은 화학물질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붓을 사용하는 것은 고체법인데요, 분말법이라고도 합니다. 미세한 분말을 지문이 묻어있다고 생각되는 물체에 붓 등으로 도포해서 분비물에 부착시켜 잠재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