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초기 관세정책은 미국의 편에서 언제든 벗어날 수 있는 국가들을 걸러내는 의도였다고도 볼 수가 있는지요?
트럼프가 고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가
다시 특정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관세유예를 발표하고 협상의 시간을 준다고도 말을 했습니다
트럼프가 현시점에서 엄청난 고관세를 국가와 상관없이 부과했던 것은
정책적으로 미국이라는 나라와 함께 갈 수 있는 국가와 아닌 국가를 걸러내는 의도도 있었다고 볼 수 있나요?
관세정책에 대해 경제 전문가들은 어떤 입장이 일반적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을 되살리고 국내 일자리를 늘리는 것을 주요 목표로 내세웠습니다. 관세를 통해 수입품 가격을 높여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유도하려 했습니다. 미국의 만성적인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것도 중요한 목표였습니다. 특정 국가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수입을 억제하고, 미국산 제품의 수출을 늘리려고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부 국가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문제 삼고,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여 이러한 관행을 시정하려고 있습니다. 철강, 알루미늄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동맹국가의 진정성을 테스트 하기 위함이었다기 보다는 각종 외교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협상의 카드로 내세워서 자국의 이익을 최대한 만들고자 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은 경제 압박을 통해 협상력을 높이고, 전략적 동맹을 선별하려는 의도도 내포돼 있습니다.
특정 국가에 유예를 주는 방식은 '선 미국 중심' 기조 속 동맹 유지와 견제를 동시에 노린 행보로 해석됩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왜곡과 보복 관세로 부정적 영향을 우려합니다.
결국 보호무역은 정치적 도구이자 경제적 불확실성을 키우는 양날의 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의 관세 정책 초기에서 미국의 편에서 언제든 벗어날 수 있는 국가들을 걸러내는 의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솔직히, 지금의 트럼프 관세 정책은 정책이 아닌
한 어른이의 장난으로 보여질 정도로
정책의 흐름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무슨 정책이 하루도 가지 못해서 계속 변하는지 그 의도를 알기 힘들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그렇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한 발 더 나아가서 협상시 미국에 카드가 없는 국가들도 있고
있는 국가들도 있지만 모두에게 관세를 때리면서 미국의 패를 보여주지 않았다고도 해석됩니다
모든 국가에게 동일하게 관세라는 잣대를 들이대어 미국이 원하는 쪽으로 해결하려고 했고
그 결과가 지금처럼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일부로 세계 각국에 관세를 부과한 후, 이를 미국에 유리하게 협상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무역적자가 심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의 상황을 보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 무역이 아닌 미국에 우호적인 협력국을 선별할려는 전략적 수단으로 해석 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일괄적으로 관세를 강하게 드라이브 한 후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전형적인 압박카드로서 활용 한 것이죠
현재 많은 전통적인 경제학자, 전문가들은 이런 트펌프 방식이 단기적으로 협사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미국에 대한 국제 사회의 신뢰 감소와 공급망 왜곡으로 우려 섞인 시각을 보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